원문정보
Employment Creation Effects of Korea’s KIBS (Knowledge Intensive Business Service Industry)
초록
영어
This study divided Korea's Knowledge-Intensive Business Services (KIBS) industry into P-KIBS and T-KIBS, analyzing the employment creation effects of these sub-sectors to identify their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roles in the Korean economy. To achieve this, the employment creation effect was examined using the 2015 input-output table for historical comparison with the recently published 2019 input-output table by the Bank of Ko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Korea's KIBS industry was classified as a technology with direct employment advantages, exhibiting a higher-than-average direct employment effect and a lower-than-average employment-inducing effect. Examining each KIBS sector, P-KIBS was categorized as a job creation sector with above-average direct employment effects and employment inducement effects, contributing not only to direct employment but also to employment in other industries. Lastly, T-KIBS exhibited a higher-than-average direct employment effect and a lower-than-averag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classifying it as a sector with a direct employment advantage. In this way, it was confirmed that each sector of KIBS exhibits distinct employment characteristics. These findings can serve as valuable information when formulating policies for the industry's development and employment, as well as for determining how to effectively utilize KIBS in other sectors.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의 KIBS 산업을 P-KIBS와 T-KIBS로 구분한 후 그 하위의 세부 부문의 고용창출효과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KIBS와 하위 세부 부문이 한국 경제에서 어떠한 고용 특성을 나타내는지 파악하였다.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한국은행에서 최신 발행된 2019년 산업연관표 와 시간적 비교를 위해 2015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KIBS 산업은 직접고용효과가 평균보다 높고 고용유발효과는 평균 보다 낮은 직접고용우위 기술로 분류되어 산업 자체의 직접고용에 우위가 있는 산업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KIBS 부문별로 살펴보면, P-KIBS 는 직접고용효과와 고용유발효과가 평균보다 높은 고용창출 부문으로 분류되어 직접고용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의 고용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T-KIBS는 직접고용효과가 평균보다 높고 고용유발효과는 평균보다 낮게 나타나서 직접고용우위 부문으로 분류되었다. 이처럼 KIBS의 부문들은 각기 다른 고용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업 자체의 육성과 고용 그리고 다른 산업이 KIBS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정책을 수립할 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I. 서론
II. 문헌연구
1. KIBS 산업의 정의 및 분류
2. 한국의 KIBS 산업 현황
III. 자료 및 연구방법론
1. 수요유도모형
2. 수요유도모형
3. 산업 재분류 및 연구 프로세스
IV. 연구 결과
1. KIBS 부문별 고용창출효과
2. KIBS 고용창출효과에 따른 산업분류 비교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