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중소기업 종사원들의 그릿(Grit)이 직무재창조를 통해 글로벌 성과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mpact of Gri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Employees on Global Performance through Job Crafting

김규진, 정갑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grit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employees on the global performance through job crafting.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d the grit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employees in terms of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istence of effort, and divided job crafting into task, relational, and cognitive crafting, and attempted to reveal the impact of grit on global performance through job craft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207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onsistency of interest among employees'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task crafting among the sub-elements of job crafting, and had no effect on relational and cognitive crafting. On the other hand, among the sub-elements of grit, persistence of eff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sub-elements of job crafting: task, relationship, and cognitive craft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sub-elements of job crafting, relational craf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lobal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ut task and cognitive crafting had no effect. This study shows that in order to achieve an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 job crafting, small business organizational managers or small business consultants need to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mployees to fully demonstrate their individual capabilities for their tasks and creating an organizational atmosphere. It shows that there i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recreate relationships among employees and to create an organizational culture in which employees can take pride in their work and be given opportunities for self-realization through work performance. Organizational managers or consultant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recognize through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that job crafting is not unconditionally directly related to global performance, and they need to reorganize the organizational system, grant job autonomy, and improve internal performance so that employees can self-initiate job crafting. I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focus attention and effort on indirect mediating factors such as motivation and ways to promote performance-generating activities.

한국어

본 연구는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그릿이 직무재창조를 통해 기업의 글로벌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중 소기업 종사자들의 그릿을 관심일관성과 노력지속성으로 살피고, 직무재창조는 과업, 관계, 인지재창조로 구분하여, 그릿이 직무재창조를 통 해 글로벌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소기업 종사자 207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 과 종사자들의 그릿 중 관심일관성은 직무재창조의 하위요소 중 과업재창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관계 및 인지재창조에는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그릿의 하위요소 중 노력지속성은 직무재창조의 하위요소인 과업, 관계, 인지재창조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직무재창조의 하위요소 중 관계재창조는 중소기업의 글로벌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과업 및 인지재 창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조직관리자 또는 중소기업 컨설턴트가 직무재창조를 통한 혁신적 조직문 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종사원이 자신의 과업에 대한 개인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기회 부여와 조직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계속적인 관심 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종사원들 간의 관계재창조 및 자신의 업무에 대한 자부심과 업무수행을 통한 자아실현의 기회가 부여될 수 있는 조직문화 형성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조직관리자 또는 컨설턴트는 직무 재창조가 무조건적으로 글로벌 성과와 직결되지 않는다는 점을 본 연구 실증결과를 통해 인지하고, 종사원들이 직무재창조를 자기 주도적으 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조직체계 정비, 직무 자율권 부여, 내적동기 유발, 성과창출활동, 촉진방안 등 간접적 매개 영향요인에 대한 관심과 노력 을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그릿에 관한 연구
2. 직무재창조에 관한 연구
3. 글로벌 성과에 관한 연구
III. 연구가설 및 모형 설정
1. 연구가설의 설정
2. 연구모형의 설계
IV. 연구방법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2. 조사방법
V. 실증분석
1. 표본기업의 기초통계 분석
2. 측정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3. 가설검증 결과
VI. 결론 및 제언
1. 연구결과의 요약
2 연구의 시사점
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규진 Kim, Gyoo-Jin. 국립안동대학교 무역학과 강사
  • 정갑연 Jeong, Gap-Yeon. 국립안동대학교 무역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