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건

국내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재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

원문정보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related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South Korea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방윤이, 김혜진, 박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search purpose outlined emphasizes the growing need for systematic and professional disaster education for nurses and nursing students, driven by the increasing occurrence of natural and large-scale social disasters. The stud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alyzed the effects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disaster education targeting this demographic.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a literature search in major Korean databases using keywords related to disaster, education programs, and simulations. The findings highlighted that most programs utilized a combination of theoretical lectures, simulations, and debriefing methods, with intervention times ranging from less than 2 hours to between 40 and 56 hours. The primary outcomes measured were disaster nursing preparedness and performance abilities, with the programs showing positive effects on variables such as disaster nursing readiness, performance ability, attitude, knowledge, awareness, learning self-efficacy, practice satisfaction, and confidence in disaster nursing. The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designing programs that offer participants realistic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diverse intervention times and methods and emphasizes the ne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한국어

자연 재해와 대규모 사회 재난발생으로 인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재난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학생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재난교육에서 교육적 개입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주요 한국 데이터베이스에서 재난, 교육 프로그램, 시뮬레이션 관련 키워드로 문헌을 검색하였으며, 재난교육 프로그램 중재를 제 공한 국내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들이 분석 대상이었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이론 강의, 시뮬레이션, 디브리핑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중재 시간은 2시간 이하에서 40~56시간에 이르는 다양한 구성으로 진행되었다. 가장 많이 측정한 변수는 재난간호 준비도와 재난간호수행능력이었으며, 재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로 재난간호 준비도, 재난간호수행 능력, 재난태도, 재난지식, 재난인식, 학습 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 재난간호 자신감 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 타났다. 다양한 중재 시간과 방법을 고려하여 참여자들에게 실제적이고 현장감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문헌검색 전략
2.2 문헌선정 과정
3. 연구결과
3.1 분석 문헌의 일반적 특성 및 연구방법 관련 특성
3.2 중재의 특성
4. 논의
5. 결론
Appendix 1. List of Studies Included in Systematic Review
REFERENCES

저자정보

  • 방윤이 Yun Yi Bang. 경복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조교수
  • 김혜진 Hye Jin Kim. 경복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조교수
  • 박하영 Ha Young Park. 경복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