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건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영향요인

원문정보

Factors Affecting End-of-life Care Performance of Nurses in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Institutions

전민기, 권명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end-of-life care stress, death awareness,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s of nurses at a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institution have an impact on end-of-life care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0 nurses working at a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institution.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9 to September 30, 2021, using two methods: written questionnaire and internet survey. The data analysis method us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end-of-life care stress, death awareness,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end-of-life car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nd-of-life care performance and death awareness (r=.22, p =.002),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 (r=.20, p =.004).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 and death aware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nd-of-life care performance. As death awareness and prior decision-making attitudes increased,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creased, and end-of-life care stress did not appear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 order to improve hospice nurses' ability to provide end-of-life care, interven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influencing factors is required.

한국어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기관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죽음인식, 사전의사결정 태도가 임종간호수행 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복지부로부터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 기관으로 지정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호스피스 간호사 200명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서면 설문지와 인터넷 설문조사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2021년 8월 9일부터 9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방법은 대상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죽음인 식, 사전의사결정 태도, 임종간호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고 대상자 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Hierarchical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임종간호수 행과 죽음인식(r=.22, p =.002), 임종간호수행과 사전의사결정 태도(r=.20, p =.004)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독립변수를 추가한 MODEL2에서 연령, 사전의사결정 태도, 죽음인식이 유의한 임종간호수행 영향요인이었으며 이들의 설명 력은 10.4%이었다(F=3.90, p <.001). 호스피스 간호사의 임종간호스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 영향요인을 고려한 중재가 요구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방법
2.5 윤리적 고려
2.6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수행 차이
3.3 대상자의 임종간호스트레스, 죽음인식, 사전의사결정 태도와 임존간호수행 간의 상관관계
3.4 대상자의 임종간호수행의 영향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전민기 Min-Gi Jun.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석사
  • 권명진 Myoung-Jin Kwon.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