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공지능/빅데이터

디지털 리더십과 동적 디지털 역량, 조직의 수용의도가 디지털 전환 수준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mpact of Digital Leadership, Dynamic Digital Capabilities and Organization Acceptance Intention on Business Digital Transformation

김민철, 김진권, 안동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eadership and digital transformation in companies.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ynamic digital capabilities that quickly sensing and seizing advanced and convergent digital technologies and apply them to the organization, this study also intend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s acceptance intention.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with a sample of 258 copies of data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n companies participating in mini-clusters in industrial complexes nationwide. As a result of the study, dynamic digital capabilities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eadership and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effect of dynamic digital capabilities on the level of digital transforma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s digital acceptance intention. This study presented a new concept and measurement items of digital dynamic capabilities, and how to consider digital leadership, dynamic digital capabilities and acceptance level of organization when promot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companies.

한국어

최근 4차 산업혁명이라 일컬어지는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변화와 시장 환경의 불규칙한 변화 속에서 기업에서는 첨 단화, 융합화된 디지털 기술을 신속히 감지하고 포착하여, 조직에 맞게 적용하는 동적 디지털 역량이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 다. 본 연구는 기업에서 디지털 리더십과 디지털 전환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으 며, 특히 조직의 동적 디지털 역량과 조직의 디지털 수용 의도의 매개 혹은 조절 효과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전국의 산업단 지 내 미니클러스터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수집한 258부의 자료를 표본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 과 동적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 리더십과 디지털 전환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고, 디지털 수용의도는 동적 디지 털 역량과 디지털 전환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조직에서의 동적 디지털 역량, 디지털 수용의도의 개념과 측정항목을 체계화하였으며, 기업에서 디지털 전환 추진 시 동적 디지털 역량을 어떻게 측정 및 제고하고, 조직원의 디지털 수용의도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디지털 전환
2.2 디지털 리더십
2.3 동적역량, 디지털 역량, 동적 디지털 역량
2.4 디지털 수용의도
3.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연구가설
4. 연구결과
4.1 신뢰도 및 집중타당도 분석
4.2 상관관계 및 판별타당성 분석
4.3 가설검증 결과
4.4 토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민철 Min-Chul Kim. 한국공학대학교 박사과정
  • 김진권 Jin-Kwon Kim. 한국공학대학교 경영학부 겸임교수
  • 안동희 Tony Donghui Ahn. 한국공학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