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제강점기 송광사의 벌교 송명학교 교육활동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Beolgyo Songmyeong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Of Songgwangsa Temple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여암스님(김동욱), 퇴휴스님(문순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nggwangsa Temple changed the name of the Gangweon to Bulgyogibanghakrim against modernization and Japanese colonial era in 1917, and it steadily spent people in Japan and central at temple mone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period. Songgwangsa Association purchased a house and opened and operated a propagated temple at Beolgyo in Bosunggun in 1916. In 1922, it converted the Gyodang into a Gyosa and opened a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 called Songmyeong Sasook. It changed and developed into Songmyeong Academy, Songmyeong Hakgwan and Songmyeong School. It was a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for proletarians and children over school age that has a desire to study but is not provided with educational opportunities. Also, it operated a separate night school to overcome the illiteracy of women and women. It also actively played a central role in communication and education in the community. Songmyeong school was a high-quality educational institution in which Japanese international student or Joongang Buljeon that were Songgwangsa scholarship students, the best elite group, were in charge of education at that time. Although the school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by Songgwangsa Temple, when the school was closed, it gave all property and facilities to the local community free of charge, which greatly helped the development of local education. Songmyeong school Temple was established for dharma propaganda and national education, but it was difficult to achieve specific goals under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국어

근대화와 일제강점기에 대응하기 위해서 송광사는 승가의 전통교육기관인 강원을 1917년에 불교지방학림으로 개편하였고, 우수한 인재들을 일관되게 일본이나 경성으로 사비(寺費)를 들여 적극적으로 유학을 보냈다. 일제강점기 송광사 본·말사는 연합으로 보성군 벌교에 1916년 초옥을 구입하여 포교당을 개설하여 운영하였으며, 1922년 교당을 교사로 전용하여 ‘송명사숙’이라는 근대 교육기관을 개교하게 되었다. 송명사숙은 송명학원이나 송명학관, 송명학교로 변천하고 발전해 나갔다. 송명학교는 교육의 기회를 얻지 못한, 무산자나 취학연령을 넘긴 아동을 위한 민중교육 기관의 역할을 하였으며, 이와 별도로 야학을 운영하여 부녀자나 여성의 문맹을 극복할 기회를 제공했다. 또한 지역사회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면서 지역민을 위한 중심 공간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하였다. 송명학교는 송광사의 장학승 출신으로 일본이나 중앙불전 등에 유학한 당시 최고의 엘리트가 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한 수준 높은 교육기관이었다. 비록 송광사가 설립하고 절대적인 지원으로 운영했던 학교지만 양도할 때는 모든 재산과 시설을 무상으로 증여하여 지역 교육에 기여하였다. 송명학교의 설립 취지는 불교 포교와 민족교육에 있었으나 엄혹한 일제강점기라는 것을 감안할 때 구체적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 초록
Ⅰ. 들어가는 글
Ⅱ. 송명사숙 설립과 지역 주민의 호응
1. 송광사의 송명학교 설립
2. 지역 주민의 적극적 호응
Ⅲ. 송명학교의 발전
1. 송명학교의 교육활동
2. 송명학교의 변천
Ⅳ. 송명학교의 운영난과 폐교
1. 일제의 관여와 학교의 위기
2. 송광사의 운영 포기와 서민호의 인수
Ⅴ.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여암스님(김동욱) Kim, Dong-Wook(Ven. Yoe-Am).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불교학과 박사과정수료
  • 퇴휴스님(문순회) Mun, Sun-Hoe(Ven. Toe-Hyu). 중앙승가대학교 객원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