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밀교의 현대 명상 전용에 관한 고찰 - 『대일경』과 붓다구히야의 주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Late Madhyamaka Tradition of Esoteric Buddhism and its Application to Contemporary Meditation focused on the Commentary of Buddhaguhya’s Abhisambodhi Tantra

정성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dern meditation is a technique that deals with the human psyche and mind, and its theory and applications are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ine, psychology, religion, and education. The origin of meditation has deep connections with figures like Freud and the era of Carl Jung, who actively incorporated Eastern philosophical theories and utilized religious tools such as mandalas and mantras. Initially, Mandalas and Mantras were used as tools to assess the inner state of patients' minds or to induce calmness and relaxation of the mind. However, various practices such as Sutras, meditation techniques, visualization, and mandala meditation found in esoteric Buddhism have a much deeper history and diverse methods in guiding human psychological analysis and transformation. Their effectiveness is evidenced by the continued utilization of esoteric practices in Indian Buddhist history for over five hundred years, serving as Modern meditation is a technique that deals with the human psyche and mind, and its theory and applications are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ine, psychology, religion, and education. The origin of meditation has deep connections with figures like Freud and the era of Carl Jung, who actively incorporated Eastern philosophical theories and utilized religious tools such as mandalas and mantras. Initially, Mandalas and Mantras were used as tools to assess the inner state of patients' minds or to induce calmness and relaxation of the mind. However, various practices such as Sutras, meditation techniques, visualization, and mandala meditation found in esoteric Buddhism have a much deeper history and diverse methods in guiding human psychological analysis and transformation. Their effectiveness is evidenced by the continued utilization of esoteric practices in Indian Buddhist history for over five hundred years, serving as

한국어

현대 명상은 주로 인간의 심리와 마음을 다루는 기술로 그 이론과 응용의 영역은 의학, 심리, 종교, 교육 등 다양한 곳에 미치고 있다. 명상의 기원은 근대 심리학을 이끈 프로이트와 칼 융시대와 깊은 관계가 있다. 칼 융은 동양사상의 이론을 적극 도입하고 진언과 만다라와 같은 종교적 도구를 적극 활용하였다. 초기 만다라는 환자 마음의 내면을 현실로 유도해 평가하거나, 마음의 평정과 이완을 유도하는 도구로 활용되었으며 그것은 현대 명상에서도 유효하다. 만다라의 활용을 계기로 밀교의 진언과 수인, 관상(觀想), 만다라 등 다양한 소재들이 명상의 도구로서 주목받고 있다. 밀교는 수백 년 넘게 인간의 심적 변화를 야기하는 많은 소재들을 발전시켰다. 붓다구히야의 『대일경』 주석은 밀교의 사상과 소재에 나타난 인도불교 후기중관파의 이론들을 보여준다. 후기중관파는 불교문헌들에 대해 진리의 주장과 문학성을 가려내고 불교수행에 대해서도 종교적 추상성을 배제하였으며, 밀교를 통해 가장 효과적이며 실천가능한 현실적 수행들을 모색하였다. 밀교는 대승불교 유가행을 계승한 것으로 인간의 다양한 심층을 다루는 탁월한 수행기법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밀교의 소재들이 가진 목적과 범위를 알고 있어야 그것이 현대명상에 활용되었을 때 밀교가 가진 전통과 가치를 보존하면서 올바른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조언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 초록
Ⅰ. 서언
Ⅱ. 『대일경광석(大日經廣釋)』의 진언문 주석
1. 붓다구히야의 활동배경
2. 진언문과 진언유가
3. 진언문의 실지관
Ⅲ. 현대 명상으로서 진언문의 가능성
1. 만다라의 심층분석과 전의(轉依)
2. 관상과 소연의 활용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성준 Cheong, Seong-Joon. 위덕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