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ffects of home visits an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focusing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Methods: We searched PubMed, Embase,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atabases for articl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22. We used a search strategy combining the terms “living alone” AND “old adults” AND “rehabilitation” OR “home visit” OR “program.” Six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relevance to the research question and were evaluated for methodological quality, intervention program method, and effects of home visits and rehabilitation programs. Results: The average PEDro Scale of the papers was 6.6 points, indicating good quality. The home visit and rehabilitation programs included interventions such as exercise programs with telephone counseling and nutrition management programs, integrated play programs, and home visits. Analysis of the six articles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ental and physical health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home visits and rehabilitation programs can improve mental and physical health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se interventions tailored to the individual needs of this population.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provide more robust evidence to guide the planning and selection of these customized programs.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가정방문 및 재활 프로그램 적용 효과에 대한 국내외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검색으로 PubMed, Embas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13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로는 “living alone” AND “older adults” AND “rehabilitation” OR “homevisit” OR “program” 국문검색 용어는 “독거노인” AND “가정방문” OR “프로그램”을 적절히 조합하여 6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연구들은 연구의 방법론적 질 평가, 가정방문 및 재활 프로그램 방법 및 효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선정된 논문의 PEDro Scale은 평균 6.6점으로 ‘양호’로 나타났다. 가정방문 및 재활 프로그램의 방법으로는 전화상담을 동반한 운동 프로그램, 통합놀이 프로그램, 가정방문 및 전화상담을 통한 영양관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6편을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정신 및 신체적 건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독거노인 대상 가정방문 및 재활 프로그램 적용 시 정신 및 신체적 건강 증진에 대한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독거노인 개별 특성에 맞는 가정방문 및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추후 연구는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을 계획하고 선택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근거 자료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검색 및 선정 과정
2. 연구 검색 결과
3. 분석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4. 대상 연구의 방법론적 질 평가
5.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분석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2. 대상 연구의 방법론적 질 평가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 재활 프로그램의 현황, 종류 및 효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