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We systematically reviewed the literature and compared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VR)-based social interventions on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Studies published between March 2012 and March 2022 were included. PubMed, CINAHL, SCIENCE ON, and ERIC were used as databases for the literature searches and included handsearched papers from Google Scholar. The main search terms were “Developmental disorder” OR “Autism spectrum disorder” OR “Intellectual disability” OR “Asperger's” AND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AND “Social” both in Korean and English. The selected literature was systema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PICO (Patients, Intervention, Control, Outcome). Results: The VR-based social program was mainly applied to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Asperger's disorder groups. The target ages ranged from childhood to adulthood. Peer relationship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re the primary goals of training children and adolescents. Job interviews and work skills tests were conducted during adulthood. VR-based social programs are helpful in improving emotional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and vocational skills in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 VR-based social programs have clinical utility in various therapeutic contexts and conditions. In the future, VR-based social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diagnostic groups should be studied.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반 사회성 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문헌을 고찰하고 중재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2012년 3월부터 2022년 3월까지 10년간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검색을 위한 데이터베 이스로는 PubMed, CINAHL, SCIENCE ON, ERIC을 사용하였고 Google Scholar에서 논문을 추가로 수기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국내의 경우 “발달장애” OR “자폐스펙트럼장애” OR “지적장애” OR “아스퍼거” AND “가상현실” OR “증강현실” AND “사회성”을 사용하였고, 국외의 경우 “Developmental disability” OR “Autism spectrum disorder” OR “Intellectual disability” OR “Asperger’s” AND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OR “Social”을 사용하였다. 검색된 문헌은 PICO (Patients, Intervention, Control, Outcome) 양식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VR 기반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은 주로 자폐스펙트럼 및 아스퍼거 장애 그룹에 적용되고 있었다. 적용 대상의 연령은 아동기에서 성인기까지 다양하였고,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또래 관계 및 학교생활 적응이 주된 훈련 목표였고 성인기는 면접 및 직장생활 기술이 주된 훈련 목적이었다. VR 기반 사회성 중재 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의 감정인식, 의사소통 기술, 직업기술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VR 기반의 사회성 중재 프로그램은 가상현실 내 다양한 치료 맥락을 설정할 수 있고 체계적으로 치료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임상적 장점이 있다. 향후 다양한 진단 군의 특성을 반영한 VR 기반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이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문헌검색 및 분석 대상 연구 선정
2. 문헌 선정 및 배제 기준
3. 문헌 선정 과정
4. 연구의 질 평가
5. 비뚤림 위험평가
6.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
Ⅲ. 연구 결과
1. 논문 선정 결과
2. 분석 대상 연구의 질
3. 비뚤림위험 평가 결과
4. 체계적 문헌 고찰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ppendix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