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치매환자의 디지털 헬스를 이용한 재활치료 효과 :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원문정보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Using Digital Health on People With Dementia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홍서진, 이재신, 김희, 유두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previous reports confirming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using digital health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dementia. Methods: Fiftee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selected among studies from January 2010 to May 2022. The quality of the published literature was assessed using Pedro scale. Additionally,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R version 4.2.0, and publication bias was investigated. Results: The average Pedro scale score was 6.4 points. Of the 15 studies, six used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five used virtual reality intervention, two used telerehabilitation, one used digital reminiscence and one was robot intervention. This meta-analysis revealed medium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0.30, p = 0.01) and depression (-0.71, p < 0.0001) in people with dementia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DL (0.41, p = 0.26), IADL (0.20, p = 0 .3 4), or quality of l ife (0.3 1, p = 0.11). Conclusion: Digital health rehabilitation improves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individuals with dementia. Therefore, interventions using digital health will be useful for people with dementia, reduced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한국어

목적: 디지털 헬스를 이용한 재활치료가 치매환자의 인지 기능, 우울,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들에 대해 고찰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외, 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10년 1월부터 2022년 5월까지의 연구 중 총 15편의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선정하였다. Pedro scale을 통해 문헌의 질을 확인하였고, 디지털 헬스를 이용한 재활치료가 치매환자의 인지 기능, 우울, ADL, IADL,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검정하고자 R 4.2.0을 사용하여 효과크기, 통계적 이질성, 출간오류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선정된 15편의 논문의 평균 Pedro scale은 6.4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에 속했으며, 15편의 연구는 전산화 인지재활 6편, 가상현실을 이용한 중재 5편, 원격재활 2편, 디지털 회상치료 1편, 로봇 1편으로 구성되었다. 메타분석 결과, 치매환자의 인지 기능(0.30, p = 0.01)과 우울(-0.71, p < 0.0001)에서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하지만 ADL (0.41, p = 0.26), IADL (0.20, p = 0.34), 삶의 질(0.31, p = 0.11)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치매환자에게 디지털 헬스를 이용한 재활치료는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인지 기능 감소와 우울 증상을 보이는 치매환자의 재활을 위해 디지털 헬스를 이용한 중재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자료 수집 방법
3. 문헌 선정 기준
4. 문헌의 질 평가 방법
5.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분석 대상 문헌 도출
2. 분석 대상 문헌의 질
3. 체계적 고찰 결과
4. 메타분석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홍서진 Hong, Seo-Jin.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
  • 이재신 Lee, Jae-Shin.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김희 Kim, Hee.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 유두한 Yoo, Doo-Han.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