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ttended the inaugural conference of the Asian Society for Religion and Peace - Do you have no problem living like that? -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1. 종교의 무엇이 평화가 되는가?
1) 선언: “종교가 평화가 아니라, 평화가 종교이다”
2) 행위 주체성: “평화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이다”
3) 평화는 수단이 아니라 목적이고 가치관이다
2. 벼랑 끝의 물음: “너는 그렇게 살아도 괜찮겠느냐?”
1) 한 정토진종 승려의 불교 사회주의 시각
2) 나무아미타불, 부처님으로부터의 부름
3) 한계 상황에서 우리는 무엇에 의지할 수 있는가?
3. 종교는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원론을 넘어야 하는가?
1) 종교적 평화공생 사상의 의미
2) 삶의 자각: “용서받지 못하고 잊지도 않고 나는 살아간다.”
3) 불교가 제안하는 “대자연의 생명으로 나아가는 ‘본원(本願)’적 화해”
1) 선언: “종교가 평화가 아니라, 평화가 종교이다”
2) 행위 주체성: “평화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이다”
3) 평화는 수단이 아니라 목적이고 가치관이다
2. 벼랑 끝의 물음: “너는 그렇게 살아도 괜찮겠느냐?”
1) 한 정토진종 승려의 불교 사회주의 시각
2) 나무아미타불, 부처님으로부터의 부름
3) 한계 상황에서 우리는 무엇에 의지할 수 있는가?
3. 종교는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원론을 넘어야 하는가?
1) 종교적 평화공생 사상의 의미
2) 삶의 자각: “용서받지 못하고 잊지도 않고 나는 살아간다.”
3) 불교가 제안하는 “대자연의 생명으로 나아가는 ‘본원(本願)’적 화해”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