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세 동아시아 화엄가의 ‘중도’ 이해에 관한 일고찰 - 『화엄경소초』와 『담현결택기』 속 중도이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f the Understandin g o f th e Middl e wa y in Hu ayan Studies in Eas t Asia o f the Middle Ages: - Focus es on the und erst andi ng of the midd le way in the Huay an jing shu chao 華嚴經疏鈔and the T anx uanjueze ji 談玄決擇記 -

박은영(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Huayanjing shu chao 華嚴經疏鈔by Qingliang Chenguan 澄觀 (738~839)was the representative comm entary on the 80-fascicle Huayan jing 華嚴經. Chenguan neither composed a commentary on the Zhonglun nor wrote a treatise on the idea of “middle way.” Instead , he suggested a dual type of middle way in his commentary . There are five types of middle way, in the Huayan scholarship in East Asia of the Middle Ages, t hat is dual, triple,qu adruple , and the qu intup let type of the middle way. Chenguan set up t he d ual ty pes of the mi ddle way ,nam ely the a bso lute truth s middl e way (眞 諦中道 ) and two trut hs m iddle w ay (二諦 中道) in the Hua yan jing shu chao.And Cheng guan ’s theory of the middle way was expanded into the five types of the middle w ay as ev iden ced in the Hua yan jin g tanxuanjueze ji 華嚴經談玄決擇記 byXianyan 鮮演 (1055~1101). Th e theor y o f th e middl e way , i n Huaya n scholarshi p o f Medieva l Eas t Asia , i s base d o n th e relationshi p betwee n tru e emptines s (眞空 ) an d expedient existence (幻有). It is especially focused on the interactions between subject-oneness (能卽) and object-oneness (所卽), and explanation of the methods of both dual negation (雙遮) and dual affirmation (雙表) of all things among other interactions. Xianyan offered a deeper explanation of true emptiness and expedient existence as well as the two truths doctrine. He provides repeated explanation of organic actions among things and functions or existence and phenomenon, In Conclusion, the theory of the five types of middle way (五 重中道) was appraised as being a very unique doctrine presented by Huayan scholars of the modern times. And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middle way in Huayan scholarships in East Asia of the Middle Ages,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value.

한국어

현수 법장 이후 최고의 화엄 연구가인 청량 징관은 별도로 ‘중관’이나 중에 관한 주 석서를 저술하지 않았지만 그가 저술한 『화엄경소초』에는 중도사상 이 잘 녹아있다. 그가 정립한 2중 중도에는 화엄가가 자주 쓰는 상즉상리(相卽相離)의 개념이 전제되 어 있다. 『화엄경소초』에서 자주 언급하고 있는 ‘즉함[卽]’은 능 즉[즉하는 주체]이 자기 자체를 없애고, 소즉[즉하는 대상]과 같아지는 것을 말한 다. 이렇다면 능즉과 소즉은 무체유체로 이미 구분되므로 징관은 제2중의 중도를 설명하면서 ‘즉한 것도 아니고 여읜 것도 아니다’고 전제한 뒤에 ‘일에 즉하여 이치 가 드러난다’라고 한 것이다. 이로 써 즉함과 여읨의 말속에 자동적으로 주체와 객 체로 분리되는 관계 설정을 없애고 난 뒤에 중도를 설명하고 있다. 양분되는 관계 설정이 없어져야 양쪽 어디에도 치우 침이 없는 중도적 입장이 성립되기 때문이다. 징관이 『화엄경소초』에서 정립한 2중 중도는 선연의 <5중 중도도>에 이르러 ①진공중도와 ② 환유중도의 2중을 뚜렷이 정립함으로써 진공문[진제]과 환유문 [속제]은 각각 그 자체로 중도적 개념임을 강조하게 되면서 이것이 진리가 존재하 는 방식임을 재차 확인하게 된다. 선연은 이 2중을 바탕으로 해서 ③ 진공이 환유 를 이룬 중도, ④ 환유가 진공을 이룬 중도, 더 나아가 ⑤ 이 둘을 융합하여 무애함을 이룬 중도 등의 3중을 더하여 5중으로까지 펼쳐놓았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는 중도의 관점을 한 번 더 숙고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선연은 먼저 ‘공’이 라는 용어가 지닌 중도적인 관점, 분명하게 작용하면서도 자체는 공하다는 것과 ‘비공’이라는 용어가 지닌 중의적인 관점, 공하지만 항상 현상으로 나타난다는 점 을 한 번 더 풀어씀으로서 자체가 지닌 공성과 비공성의 의미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했다. 또 환유가 지닌 ‘유’와 ‘비유’의 의미 역시 그렇다. 이를 통해 진공문과 환 유문은 회통 이전 이미 중도적 개념임을 인식시키고 있다. 이것이 중세 동아시아 화엄가가 이해한 ‘중도’라고 할 수 있다.

목차

국문 초록
Ⅰ. 서론
Ⅱ. 삼론종(길장)의 3중의 중도
Ⅲ. 청량 징관의 2중의 중도
1. 진제중도
2. 이제중도
Ⅳ. 요대 선연의 5중의 중도
1. 중도제일의제
2. 5중 중도도
3. 5중중도의 적용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은영(지현) Eunyoung Park. 동국대학교 연구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