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Study on the Image Reproduction Method and Storytelling of Media Facade

원문정보

미디어파사드의 이미지 재현 및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Yeonsu SEOL, Yongmin JU, Sojin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edia facade, one of the media art production methods, strengthens the visual immersion of visitors and leads to a positive response through colorful images, colors, and video expression techniques. However, if the producer only focuses on visual image expression, it may be difficult for the originally intended message or meaning to be conveyed to the audience, and the expected effect may be lowered. This study analyzed the exhibition composition, narrative structure, and audiovisual elements through the production and exhibition cases of the media facade content, , and studied image reproduction and storytelling.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display a media facade, a visual image with a narrative structure is needed rather than a linear image presentation, that continuity and repetition must be accompanied, and that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story with metaphors and symbols. In the future, media facades that consider these methods will be able to provide visitors with more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and effectively convey the message intended by the creator.

한국어

미디어아트 제작방식중 하나인 미디어 파사드는 화려한 이미지와 색상, 영상표현 기법으로 관람객의 시각적 몰입을 강화하고 호응을 이끈다. 하지만 시각적 이미지 표현에만 집중하는 경우, 제작자가 의도한 메시지나 의미가 관람객에게 전달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미디어파사드 의 기대효과도 낮아지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파사드 콘텐츠인 <보물선을 깨우다, 아시아 해양실크로드> 제작 및 전시사례를 통해 전시구성, 서사구조, 시청각적 요소를 분석하 였으며, 이미지 재현과 스토리텔링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미디어파사드를 효과적으로 전시 하기 위해서는 선형적 이미지 제시가 아닌 서사구조의 시각이미지가 필요하며, 연속성과 반복 성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 또 은유와 상징으로 스토리를 재구성하는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러한 개발방향을 고려한 미디어파사드는 관람객에게 더욱 풍부한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하고 제작자가 의도한 메시지와 의미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The theory
2.1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media facade
2.2 Media facade examples and techniques
3. Media facade case analysis
3.1 Media Facade Exhibition Overview
3.2 Media Facade Technical Elements
3.3 Media Facade Technical Elements
3.4 Exhibition storytelling and image reproduction
4. Conclusion
4.1 Research Conclusion
4.2 Future Research Direction
Reference
<국문초록>
<결론 및 향후 연구>

저자정보

  • Yeonsu SEOL 설연수. Korea Culture Technology Institute, GIST
  • Yongmin JU 주용민. Korea Culture Technology Institute, GIST
  • Sojin KIM 김소진. Korea Culture Technology Institute, GIST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