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中庸으로 본 서정주의 『질마재 神話』

원문정보

Seo Jeongju’s Jilmajae Myth from the Perspective of Zhongyong(中庸)

김미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irtues and meaning of the Zhongyong in Seo Jeongju poetry, targeting Jilmajae myth. Zhongyong’s virtue in Seo Jeongju’s poetry unfolds as Zhongyong of sincerity, which becomes the power of change, and Zhongyong of self-integration, where autonomy and soul come to life. Zhongyong of Sincerity is an attitude of life that believes that world change begins from a small thing and lives with utmost sincerity. In Zhongyong, sincerity extends to the world of heaven and earth. In Seo Jeongju’s poetry, Sincerity’s Zhongyong develops into an act of uninterrupted progress and continuous effort that goes beyond time and space. Zhongyong of self-integration is a figure who does not shake no matter what life approaches and lives by finding the right center of life for the situation. Zhongyong’s virtue is not mechanical or physical, but dynamic and lively. In Seo Jeongju’s poetry, the Zhongyong of self-integration unfolds with the appearance of characters living with autonomy and the tremor of the soul. The virtue of Zhongyong in poet Seo Jeongju’s Jilmajae myth, has two meanings. One is that it provides an essential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o live. Seo Jeongju’s poetry emphasizes a human life according to the providence of nature and a Zhongyong life living like a human being, just as there is an order of Mother Nature. The other is that the Zhongyong life contained in Seo Jeongju’s poetry is becoming the ultimate posture to endure and overcome the negative reality. Seo Jeongju brings the local life that became one with nature and the Zhongyong life that resides in the traditional culture of our people to the poetry and continuously emphasizes what is the basis to be protected in the reality of modern material civilization and what direction to go.

한국어

본 연구는 『질마재 神話』를 대상으로 하여, 서정주 시에 나타나는 중용의 덕과 그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정주 시에 나타나는 중용의 덕은 변화의 힘이 되는 至誠의 中庸, 자율과 영혼이 생동하는 自得의 中庸으로 펼쳐진다. 지성의 중용은 세상의 변화는 조그만 것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믿고 지극한 성실함을 실천하며 살아가는 삶의 태도이다. 『중용』에서 성실함은 천지자연의 세계까지 확대 적용된다. 서정주 시에서 지성의 중용은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중단없는 전진과 지속적인 노력의 행위로 전개된다. 자득의 중용은 어떤 삶이 다가와도 동요되지 않고 그 상황에 알맞은 삶의 중심을 찾아내며 살아가는 태도이다. 중용의 덕은 물리적이거나 기계적인 것이 아니라 생동적이고 역동적인 것이다. 서정주 시에서 자득의 중용은 자율과 영혼의 떨림으로 사는 인물들의 등장으로 펼쳐진다. 서정주 시인의 『질마재 神話』에 나타나는 중용의 덕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관한 물음에 대한 본질적인 답변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서정주 시는 대자연에도 질서가 존재하듯 인간은 자연의 흐름과 섭리에 따라 인간다운 모습으로, 인간답게 살아가는 중용적 삶을 역설한다. 다른 하나는, 서정주 시가 담고 있는 중용적 삶은 부정한 현실을 견디고 극복해 나아갈 수 있는 궁극적인 자세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서정주는 자연과 하나 된 향토적인 생활과 우리 민족의 전통적 문화에 어려있는 중용적 삶을 시에 끌어와 근대 물질문명의 현실에서 지켜야 할 근본은 무엇이고 나아갈 방향은 어디인지를 지속해서 강조한다.

저자정보

  • 김미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이용 방식은 연계기관의 정책을 따르고 있습니다.

      • 원문보기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