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습자 오용을 통한 「ながら」절의 대응과 교수방안 ― 학습자 오용 분석과 자기정정 방법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sponse and Teaching Methods on Learners’ Misuses of ‘-nagara’ Clause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learners’ misuses and self-correction methods ─

오선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the Japanese conjunction ‘-nagara’ in 314 learner compositions. First, the patterns of learners’ misuse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cases: 1) ‘-nagara’ being used several times in one sentence, 2)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where simultaneous events occur and distinguishing the particularity of the circumstance, 3) a failure to consider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ctions expressed with ‘-nagara’ and 4) a failure to consider both time and space factor between the two actions. As a result of correcting misuses of the learners, the misuses were generally corrected in six ways: ‘te-form’, ‘masu-form’, ‘-tutu,’ ‘-ippoude’, ‘chu・-naka(de)’ and ‘-sitatpki’. In order for learners to correct their mistakes on ‘-nagara’ conjunction themselves, first it should be explained that ‘-nagara’ cannot be used repeatedly in one sentence and therefore it should be used in the main clause where the verb can be stressed; then learners could be instructed to use ‘te-form’ or ‘masu-form’ in the subordinate clause. If there is a significant time difference between two actions connected with ‘-nagara’ conjunction, learners can be instructed to use ‘te-form’ instead. If the misuse is related to both time and space it should be explained that ‘-nagara’ conjunction cannot be used in such case, and ‘-ippoude’ can be used instead. Finally, the learning efficiency can be expected to improve by instilling grammatical awareness regarding ‘circumstances’, which was the most misused pattern of learners (74 cases, 28.8% of the total 262 cases), by comparing ‘-nagara’ with ‘-tutu’, ‘chu・-naka(de)’, ‘-sitatoki’ according to various circumstances.

한국어

본 고는 일본어 접속사 「ながら」의 학습자 작문 314개를 분석한 것이다. 먼저 학습자 오용의 패턴을 보면 ① 한 문장에 「ながら」를 여러 번 사용한 경우, ② 부대상황과 양태의 구별에 대한 인식 부족, ③ 「ながら」로 표현되는 두 동작 사이의 시간성을 고려하지 못한 경우, ④ 두 동작 사이의 시간성 및 공간성을 고려하지 못한 경우로 나뉘었다. 이들 학습자 오용을 정정해본 결과 학습자의 오용은 대체로 「て形」, 「ます形」, 「つつ」, 「一方(で)」, 「中・中(で)」, 「した時」의 6가지로 정정이 가능했다. 일본어 접속사 「ながら」절의 오용을 줄이기 위한 학습자 자가 정정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 문장 안에 「ながら」를 중복해서 사용하지 못하기에 주절의 동사를 강조할 수 있는 쪽에는 「ながら」를 쓰고 다른 쪽은 「て形」 혹은 「ます形」으로 바꿀 수 있도록 지도하고 또한 「ながら」로 이어지는 두 동작 사이의 시간차가 현저히 벌어진 경우 「て形」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본어 접속사 「ながら」는 두 동작 사이에 시간적・공간적 차이가 발생할 시에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一方で」로 대체하도록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오용이 가장 많았던 양태에 관한 교수 및 인식 강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번에 수집된 학습자 작문 예에 한해 양태의 상황에서 사용된 작문 예의 경우 「ながら」를 「つつ」, 「する中」, 「した時」로 대체가 가능했기에 학습자의 사용 예에 따라서 이것들을 비교・제시하면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일본어

本稿は日本語接続詞「ながら」における学習者の作文314例を分析したものである。まず学習者の誤用のパターンをみると、①一つの文に「ながら」を重複して用いたケース、②付帯状況と様態に対する認識があいまいなケース、③「ながら」で繋がる二つの動作における時間性に対する認識があいまいなケース、④「ながら」で繋がる二つの動作における時間性及び空間性に対する認識があいまいなケースの概ね4つのパターンがみられた。 このような学習者の誤用を訂正した結果、「て形」、「ます形」、「つつ」、「一方で」、「中・中(で)」、「した時」の6つに訂正できた。 以上の考察から日本語接続詞「ながら」における学習者の自己訂正を促すためには、まず一つの文に「ながら」を重複して用いることはできないため主節の動詞が強調できる方に「ながら」を用い、他方には「て形」又は「ます形」に変えるように指導すること。また「ながら」で繋がる二つの動作の間の時間差が著しい場合は「て形」に変えるように指導すること。そして時間差に加えて著しい空間的違いが認められる場合は「一方で」に変えるように指導すること。最後に日本語接続詞「ながら」において学習者の使用頻度及び誤用が一番多かった様態(全262例のうち74例28.8%が誤用)についての教授及び認識の強化が必要と見られた。今回収集できた学習者の作文例の限りでは様態として用いられる作文例は「つつ」、「中・中(で)」、「した時」に訂正できたので学習者の使用例に合わせこれらを比較して提示しすることで学習の効率をあげることが期待できる。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일본어 접속사 「ながら」와 한국어 연결어미 「—(으)면서」
Ⅲ. 선행연구
Ⅳ. 일본어 중・고급학습자의 「ながら」사용패턴
Ⅴ. 맺음말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오선주 OH SUNJU . 배화여자대학교 일본어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