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Factors Influencing of Walking Exercise on the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Residents Participation

원문정보

일 지역사회 주민의 걷기 운동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 Suk Rho, Mi Seung So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to identify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participation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residents aged 60 years or older in a community. The subjects were 271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alking exercise program in G Count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χ2-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with SPSS 23 program. In the difference test, gender, health status, and walking exercise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and in the correl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walking exercise participa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subjective happiness and self-efficacy, subjective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walking exercise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and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were education level, health status, and walking exercise participa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4.4%. In conclu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living in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developing programs that allow them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ies such as walking exercise continuously.

한국어

이 연구는 일 지역사회에서 60세 이상의 주민이 걷기 운동 참여한 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군 소재의 주민이 걷기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271명을 대상으로 SPSS 23프로그램으로 t-test, χ2-test, 다중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차이 검증에서 성별과 건강상태, 걷기 운동 참여에서 유의미하였고, 상관성에서는 걷기운동 참여 정도와 주관적 행복감, 주관적 행복감 과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질, 걷기 운동 참여와 삶의 질,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간의 관계에 서 순상관성이 있었다.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교육 수준, 건강상태, 걷기운동 참여에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24.4%였다. 결과적으로 지역사회 거주하는 주민들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 기 위해서 걷기 운동 등 신체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Ⅰ. 연구 필요성
Ⅱ. 연구 목적
Ⅲ.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3. 연구 도구
4. 자료수집방법
5. 자료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1. 인구사회학 및 생활 관련 특성
2.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검증
4. 참여자의 주관적 행복감과 자기효능감, 삶의 질간의 상관성
5.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
Ⅴ. 논의
Ⅵ.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In Suk Rho Department of Nursing, Sehan University
  • Mi Seung Song Department of Nursing, Sehan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