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Evaluation and Corporate Value of Companies Allocated in the Emissions Trading Scheme

원문정보

배출권거래제 할당기업의 ESG 평가와 기업가치의 관계 연구

Seon Taek Sim, Dong Hoon Shi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nalyzed the impact of Korea's carbon emission trading system, a policy tool for net-zero carbon emissions, on corporate value. We selected 214 listed companies from 2011 to 2022, assigned to the management period and the 1-3 planning periods of the emission trading system, as samples. Using financial data and ESG ratings, we empirically analyzed their impact on corporate value, but found no significant effect from each planning period of the emission trading system. However, we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igh ESG ratings and increased corporate value, suggesting that the impact on corporate value may vary depending on the planning period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a simplified form,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carbon emission trading system on corporate value and found that companies with higher ESG ratings tended to have increased value. However, the impact of each planning period of the trading system on corporate value was unclear, indicating that the effects may vary by planning period and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의 탄소배출 넷제로를 위한 환경정책 수단인 탄소 배출권거래제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배출권거래제의 목표관리제 시행기간인 2011년부터 2022년까지의 제1차~제3차 계획기간 동안에 할당된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214개를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기업 의 재무데이터와 한국ESG기준원(KCGS)에서 평가한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평가 등급을 활용하 여 Tobin-Q(기업 가치)에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배출권거래제의 각 계획기간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도 병행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탄소 배출권거래제를 시행하면 서 할당된 기업들의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평가 점수는 기업가치와 유의미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즉, E, S, G 각각의 평가 점수가 높은 기업일수록 기업가치가 상승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출권거래제의 각 계획기간, 목표관리제 시행기간과 1차부터 3차 계획기간이 기업가치에 미치 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 결과는 각 계획기간에 따라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가설 설정
1. ESG 평가와 기업가치
2. 배출권거래제 각 계획기간에 따른 기업가치의 변화
Ⅲ. 연구 설계
1. 표본 및 데이터
2. 변수설명
Ⅳ. 연구 결과
1. 기초통계량 분석
2. 상관관계 분석
3. 회귀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Seon Taek Sim Department of Green Finance, Inha University
  • Dong Hoon Shin Department of Global Finance and Banking, Inha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