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Analysis on the Main Function of the COVID-19 Response Policy for the Infection Disaster Continuity of Operating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원문정보

행정안전부의 감염병 재난 업무연속성을 위한 코로나19 대응정책의 주요 기능 분석

Kyungmin Seo, Hee Young Shi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guidelines on securing the Continuity of Operation in case of large-scale epidemics, by analyzing measures on disaster responses. At first, we divided whole period into three phases, which are the early, the middle and the end of phase, through finding the turning points on the COVID-19’s spreads, and classified their major response measures. And then, we reclassified the essential roles and the responsibilities in Korea disaster management system, with comparing the SPRP. As results, the essential measures on epidemic responses of Korea disaster management system, were classified into the operation of disaster management headquaters, the management of the isolated, the supports to local governments and the publics for living stability subsidy and the vaccinations. The major roles were classified as follows; the disaster managements(A), the management of the isolated(B,C/B,C,D,I), the supports to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publics(F,H/C,F,H), and the Vaccinations(I,J).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expected to be used for establishing the guidelines of MOI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대규모 감염병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코로나19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대응정책 을 분석하여 업무 연속성을 구축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20년 1월~’22년 12월까지의 정부 지원사항에 대한 시계열 자료를 수집하고 주요 대응정책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① 코로나19 확진자와 국내 상황변화를 변곡점으로 구분(초기/중후반기)하고 대응정 책을 분류하였고, ②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한 전략적대비대응계획(SPRP)을 적용하여 국내 주요기능을 재분류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감염병 대응정책은 재난관리대책본부, 격리자관리, 지자체지원 및 시민생 활안전, 백신접종지원으로 분류되었다. 이에 따른 세부 주요기능은 재난관리(A), 격리자관리 (B,C/B,C,D,I), 지자체지원/시민생활안전(F,H/C,F,H), 백신접종지원(I,J)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 후 감염병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가이드라인 수립 및 신종감염병 중장기계획의 세부과제 정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검토
1. 코로나19 관련 연구
2. 코로나 기능 분류를 위한 연구모형
3. 연구의 방향
Ⅲ. 자료수집 및 연구범위
1. 분석대상: 2차장 범정부지원본부(행정안전부)
2. 분석시기: 백신접종 전후
Ⅳ.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정책의 주요기능 분석
1. 코로나19 초기 단계
2. 코로나19 중후반 단계
Ⅴ. 시사점
1. 재난관리 대책본부
2. 격리자 관리
3. 지자체 지원 및 시민생활안전
4. 백신접종지원
Ⅵ. 종합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Kyungmin Seo Center for Societal Disaster Research,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of MOIS, 365 Jonga-ro, Jung-gu, Ulsan, Korea.
  • Hee Young Shin Center for Societal Disaster Research,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of MOIS, 365 Jonga-ro, Jung-gu, Ulsan,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