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Disaster Risk and Resource Management System - Focus on the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

원문정보

재난 위험 및 자원 운영·관리 시스템 -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 -

Hyun Jeong Seo, Yoon Jung Choi, Yon Ha Chung, Eun Cheol Joo, Tae Jung So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present a disaster situation and response resource management system. This system aims to proactively prepare for and respond to both single and complex disaster scenarios within a city. Additionally, we propose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such resource management systems during emergencies. Notably, we leverage blockchain technology to enhance the transparency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 operations and the overall system. While our research successfully designed and developed a disaster resource management system us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practical considerations remain. This process is critical not only for the secure operation of disaster management resources but also for the overall usability of the prototype system, especially when integrating it with government departments and management agencies. The feasibility of blockchain implementation in this context needs further review and evaluation. Future studies will focus on refining the prototype system to enhance its performance and ultimately create a practical solution for real-world disaster respons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 단일 및 복합 재난 시나리오에 대한 사전 준비와 대응을 위한 재난 상황 및 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본 시스템을 활용하여 도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일 및 복합적인 재해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위험한 상황에서 재난 대응 자원 관리 시스템의 효과적인 운영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 여 재해 관리 자원 운영 및 관리 시스템의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하였다. 다만 실제 수준에서 블록체인을 적용할 때는 신뢰성 있는 재해 관리 자원 운영뿐만 아니라 정부 부처 및 관리 기관과 연동되 어 전체적인 재해 관리 자원 운영 및 관리 시스템 프로토타입의 신뢰성 있는 운영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발전시켜 실무에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시스템 기능 및 모형 설계
1.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구축
2. 시스템 구조 및 기능 설계
Ⅲ. 시스템 구축 및 상세 기능 탑재
1. 복합재난 시나리오 생성 알고리즘
2. 재난관리자원 운영·관리시스템 주요 기능
Ⅳ.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Hyun Jeong Seo Department of Research Planning Division, KIT Valley, Seoul, Republic of Korea
  • Yoon Jung Choi Department of Research Planning Division, KIT Valley, Seoul, Republic of Korea
  • Yon Ha Chung Department of Research Planning Division, KIT Valley, Seoul, Republic of Korea
  • Eun Cheol Joo Department of Research Planning Division, KIT Valley, Seoul, Republic of Korea
  • Tae Jung Song Department of Research Planning Division, KIT Valley, Seoul, Republic of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