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기 콘텐츠 분야

배우와 텍스트 사이에서 살펴본 <파수꾼>의 가상성 - 등장인물 ‘다’의 접속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Virtuality of <Watchmen> between the Actor and the Text - With the Connection of the Character ‘Da’ -

이진수, 박명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til now in 2024, most of the studies on "Watchmen" have interpreted works in connection with the situation of the times in the 1970s and the allegorical allegory and formal aesthetics. On the other hand, it turned out that few studies have grasped the actor's imagination, the use of objects, the search for spatiality, and the meaning of the audience's position on the premise of performing "Watchmen". As such, studies on Lee Kang-baek's "Watchmen" generally remain in the fiction of the text and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imagination when it was performed. This bias of research does not appear only in Lee Kang-baek's research. In general, existing drama analysis does not make much difference from the method used to analyze novels or poems. This was considered to be because the study of contemporary plays recognized only as written language printed on the book without considering the actor's representation. Starting from these gaps, this study examined the virtuality created in the connection pattern of the character 'Da' in "Watchmen" in "The Watcher" in relation to the actor's representational imagination. In addition, the virtuality at the time Lee Kang-baek created "Watchmen" was a work that symbolized the grim pain of the dictatorship in the 1970s, but the meaning of virtuality changed significantly from the perspective of today's audiences, after the dictatorship end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irtuality of plays created between the actor and the text, and this study reveals the necessity of examining the virtual domain of actors that has not been treated as important in the text analysis of plays. Based on such a purpose and necessity, we will focus on the analysis of characters in "Watchmen",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so far, and discuss the virtuality that is in contact with the interaction of characters, characters and stage spaces, characters and objects, and characters and audiences.

한국어

2024년 현재까지 <파수꾼>에 관한 대다수의 연구들은 1970년대의 시대상황과 우화적 알레고리 및 형 식미학과 연결 지어 작품을 해석해 왔다. 반면에 <파수꾼>을 상연을 전제로 배우의 행동, 오브제의 활용, 공간성의 탐색, 관객입장에서의 의미 등을 파악한 연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이강백 <파 수꾼>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텍스트의 허구에 머물며, 상연되었을 때의 가상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편향은 비단 이강백 연구에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희곡분석은 소설 이나 시를 분석할 때 사용했던 방법과 큰 차이점을 두지 않고 있다. 이는 현대희곡 연구가 희곡에서 배 우의 재현을 고려하지 않고, 책 위에 인쇄된 문자언어로서 극예술을 인식했기 때문으로 보았다. 본 연구 는 이러한 빈틈에서 출발해, <파수꾼>의 인물과 맞닿아 있는 배우의 상상력을 가상성으로 확장해 텍스트 의 연구방법론으로 새롭게 제시한다. 아울러 이강백이 <파수꾼>을 창작했을 당시의 가상성은 70년대의 독재정권의 암울한 고통을 상징하는 작품이었지만, 독재정권이 종식된 오늘날의 관객입장에서는 가상성 의 의미가 확연히 달라진다. 따라서 <파수꾼>의 희곡 텍스트 분석 또한 시대 변화에 따른 관객의 감수성 을 감지하며 가상성을 새롭게 해석해야 할 필요성을 낳는다. 이에 본 논문은 배우와 텍스트 사이에서 생 성되는 희곡의 가상성을 살펴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며, 이 연구는 그동안 희곡의 텍스트 분석에서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던 배우의 가상영역을 고찰할 필요성을 드러낸다. 이와 같은 목적과 필요성을 기반 으로 그간 논의 되지 않았던 <파수꾼>의 등장인물 분석에 초점을 맞춰 인물의 행동, 인물과 무대공간, 인 물과 오브제, 인물과 관객 등의 상호작용에 맞닿아 있는 가상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3. 선행연구 검토
Ⅱ. 극예술에서의 가상성
2.1. 극예술에서의 가상과 허구
2.2. 텍스트를 재현하는 배우의 현전감
Ⅲ. 파수꾼 ‘다’의 접속양상
3.1. ‘망루’에서 파수꾼‘나’에 이르기까지
3.2. 파수꾼 ‘가’에서 ‘촌장’에 이르기까지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진수 Jin-Soo, Lee.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 (ChungAng Univ.)
  • 박명진 Myeong-Jin, Park.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ChungAng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