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황릉몽환기>의 새 이본(異本), <양협사몽유록(兩俠士夢遊錄)>

원문정보

Introducing <Yanghyeopsa Mongyurok(兩俠士夢遊錄)>, The New Version of <Hwangreung Monghwangi>

유요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 a new version of , and take a look at the uniqueness and significance of this new version. There are a total of 7 different versions of known so far, but with the addition of , the different version introduced this time, the total number will expand to 8 types. This version can be said to be the only complete version among the original versions. Meanwhile, has a unique notation of the title. It is the only one that adopts the form of ‘character+Mongyurok’. And is a different version that has a clear affinity with . In addit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clearly indicating the meaning of the word. Therefore, letters that have been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until now can also be supplemented through this copy. This can also be seen in the fact that this version contains brief annotations.

한국어

이 글은 새로 발견된 <황릉몽환기>의 이본(異本) <양협사몽유록>을 소개하는 것을 목 적으로, 이 이본이 가진 특이성과 의의에 대해 조망해 보았다. 지금까지 알려진 <황릉몽 환기>의 이본은 총 7종인데, 이번에 소개하는 이현조본 <양협사몽유록>까지 추가되면 총 8종으로 확충된다. 이 이본은 그간 선본(善本)으로 알려진 고려대본 <황릉몽환기>와 낙장으로 빠져 있던 강전섭본 <황릉묘몽유록>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런 점에서 선본 계열 중 유일한 완질본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한편 <양협사몽유록>은 그 제 목의 표기가 독특한데, 유일하게 ‘인물+몽유록’의 형태를 차용하고 있다. <양협사몽유 록>은 <황능묘몽유록>과 친연 관계가 분명한 이본으로, <황능묘몽유록>의 낙장된 초․중 반 부분이 어떠했는지 그 면모를 확인시켜준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양협사몽유록>은 한자어나 등장인물에 대해 명확히 표기하고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양협사몽유록>의 서지적 특징과 의의
3. 나가는 말
4. 작품 원문과 표점(標點), 주석(注釋)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요문 Yoo, Yomoon.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