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독일의 해외파견자 산재보험제도에 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German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System for Persons Dispatched Overseas

김영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pecial case of the current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Act protects overseas dispatchers when the employer subscribes arbitrarily. This is the result of faithfully applying the territorial principle. However, it is not enough to protect workers under today's global work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case of Germany, which first enacted th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Act. A detailed look at how German legal accident insuranc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protects overseas dispatchers leads to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institutional reforms. First, in the definition of overseas dispatchers, we consider domestic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dispatch. And confirm the conditions of consent of the workplace council for overseas dispatch by agreement between the employer and the worker, especially overseas dispatch for more than a month. Identify the employer's obligation to report overseas dispatch and the obligation of employees to hold overseas dispatch certificates, and examine the continuous application of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to overseas work under the period limit. In particular, dispatch is divided into and out of the European Union, and the guarantee of local medical services and the right to claim reimbursement of medical expenses is carefully examined. In addition, the employer's obligation to report overseas dispatch, the obligation to prevent industrial accidents and first aid, and health management or examination before and after overseas dispatch cannot be overlooked. Based on this, Korea should also establish a systematic system before and after overseas dispatch to meet the purpose of th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Act of protecting workers, and supplement the system so that it is not excluded from insurance protection just because it is an overseas dispatch.

한국어

현행 산재보험법은 해외파견자에 대해 사용자의 임의가입이 있는 경우에 한하 여 특례로서 보호하고 있다. 이는 국제법상 속지주의 원칙에 충실한 적용이라고 할 수 있으나 오늘날의 글로벌한 노동환경에서 근로자를 보호하는 데에는 한계 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산재보험법을 처음으로 제정한 독일의 사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독일 법정재해보험의 해외파견자 보호를 상세히 살펴봄으로써 향 후 제도 개혁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해외파견자와 관련한 개념적 정의에서 파견에 대한 국내적, 국제적 관점 을 고려하여 검토하고,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의 합의에 의한 해외파견, 1개월 이 상 해외파견에 대한 직장협의회의 동의 조건을 확인한다. 해외파견에 대한 사용 자의 신고의무와 해외파견증명서를 소지할 근로자의 의무를 파악하고, 기간의 제한 아래에서 이루어진 국외근무에 대한 산재보험의 계속적 적용에 대해 살펴 본다. 특히, 유럽연합 내 파견과 유럽연합 외 파견을 구분하고, 현지 의료서비스 보장과 의료비용의 상환청구권 보장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해외파견에 대한 사 용자의 신고의무와 산재예방 및 응급처치 의무, 해외파견 전후의 건강관리나 검 진은 간과할 수 없는 내용이다. 이를 토대로 우리도 근로자 보호라는 산재보험법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해외파 견 전후에 걸친 체계적 시스템을 구축하고, 단지 해외파견자라는 이유로 보호의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제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해외파견자 관련 법적 개념 및 보호의 근거
Ⅲ. 해외파견자의 산재에 대한 사회법적 보호
Ⅳ.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영미 Kim, Youngmi.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연구원, 책임연구원(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