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재 발굴실습생의 근로자성 여부와 보호방안 검토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mployee Status and Protection Method of Trainee in Excavation

김승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time to establish a unified management system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rainee in excavation as the participation of them is active in the excavation of cultural heritage. However, there are no related Labor Relagions Commission’s or Court’s decision yet, and laws related with cultural heritage do not stipulate any legal definition and protection measures for trainee in excava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work performed by trainee in excavation, whether remuneration is provided, and whether insurances are provided depends on the discretion of each program’s manager.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trainee in excavation can be recognized as employee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based on theories, precedents, and legislation that have been previously developed for unpaid trainees such as interns. First, based on experience, we introduce the situations that trainee in excavation can actually face at the excavation site. Next, we confirm that trainee in excavation cannot be completely included under existing discussions, precedents, and legislation about unpaid trainees. Subsequently, it is considered that unpaid trainee can be recognized as employee if they have a subordination even if they are not solely aimed at wages, and furthermore, it is examined whether the trainee in excavation has a subordination. Finally, we conclude the article by suggesting that an eclectic protection plan is needed that considers the need for protection of trainee in excavation and the specificity of the excavation site.

한국어

문화재 발굴현장에서 발굴실습생의 참여가 활성화되고 있음에 따라 그들의 권 익보호를 위하여 통일적인 관리체계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관련된 노 동위원회 판정례나 법원의 판례가 아직 확인된 바 없고, 문화재관련법령에서는 그들에 대하여 아무런 법적 정의나 보호 방안을 설시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 라 발굴실습생이 수행하는 업무의 범위, 보수제공의 여부, 4대보험의 보장여부 등은 각 프로그램 담당자의 재량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에 인 턴 등 무급 실습생에 대하여 전개되어 왔던 학설, 판례, 입법례를 토대로 발굴실 습생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인정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한다. 먼저 필자 의 경험 등을 바탕으로 발굴실습생이 실제로 발굴현장에서 마주할 수 있는 상황 을 소개한다. 이어서 발굴실습생이 무급 실습생에 대한 기존의 논의, 판례, 입법 례 하에 완벽히 포섭될 수는 없음을 확인하며, 무급 실습생의 경우 임금만을 목 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사용종속관계가 있다면 근로자로 인정받을 수 있다고 보고, 발굴실습생의 사용종속관계 여부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발굴실습생의 보 호와 발굴현장의 특수성을 함께 고려한 절충적 보호방안의 논의 필요성을 제언하며 글을 마무리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
Ⅱ. 발굴실습생의 근로자성
Ⅲ. 발굴실습생의 보호방안 검토
Ⅳ. 결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승주 Seung Ju Kim. 공인노무사, 서울대학교 재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