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쾌락주의와 무가치한 쾌락의 문제

원문정보

Hedonism and the Problem of Worthless Pleasure

최우창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106집 2024.03 pp.267-29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edonism as a theory of welfare holds that what makes one's life better off is pleasure. According to hedonism, a life with high welfare value is a life with the great balance of pleasure over pain. The objection from worthless pleasure, one of the most popular objection against hedonism, is designed to refute hedonism by arguing that the life with worthless pleasure would not be a good life. In this paper I first critically examine various versions of hedonism. And then I observe Roger Crisp's hedonic tone theory and his hedonistic response against the objection from worthless pleasure. I argue that, though Crisp's theory provides a plausible account on the nature of pleas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leasure and welfare to some extent, eventually his “hedonistic” defense based on hedonic tone theory is not successful.

한국어

복지 이론으로서의 쾌락주의는 삶을 살아가는 당사자 자신에게 있어서 삶을 좋게 만드 는 것은 그가 삶에서 경험하는 쾌락이라는 주장이다. 따라서 쾌락주의에 따르면 복지 가치 가 높은 삶은 고통보다 쾌락이 더 많은 삶이다. 쾌락주의에 대해 제기되는 대표적인 반론 중 하나인 무가치한 쾌락으로부터의 반론은 무가치한 쾌락들로 점철된 삶을 예로 들어 쾌 락주의를 논박하고자 한다. 이 글은 우선 여러 종류의 쾌락주의 이론이 쾌락에 대한 적절 한 설명을 제공하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 후 쾌락주의 이론 중 가장 그럴듯한 설명 을 제시하는 것으로 보이는 로저 크리스프(Roger Crisp)의 쾌조 이론(hedonic tone theory)과 그에 의거한 쾌락주의 방어 논변을 검토한다. 논자는 크리스프의 쾌조 이론이 좋은 삶과 쾌락의 관계에 관해 어느 정도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시하지만 궁극적으로 쾌조 이론에 근거한 “쾌락주의적” 방어 논변은 성공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쾌락주의와 무가치한 쾌락으로부터의 반론
가. 복지 이론으로서의 쾌락주의
나. 무가치한 쾌락으로부터의 반론
다. 무가치성 반론의 직관적 호소력
3. 쾌락의 본성과 쾌락주의 방어 논변
가. 기존 견해 검토
나. 크리스프의 쾌조 이론
다. 쾌조 이론에 입각한 쾌락주의 방어 논변
4. 쾌조 이론과 쾌락주의 방어 논변의 문제점
가. 무가치성 논변에 대한 방어 논변의 문제
나. 쾌조 이론에 입각한 쾌락주의의 순수성 문제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우창 Choi, Woo-Chang. 경북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