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어린이 인권도서를 활용한 교수자의 인권교육 경험의 의미 탐구

원문정보

Exploring the Meaning of An Instructor’s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Using Children’s Human Rights Books

유수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til now, human rights education for children has shown limitations in that it has only been carried out in the form of delivering content provid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as is or providing as much information about human rights as possibl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uman rights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three topic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topics presented in the list of children’s human rights books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uman rights education. To this end, six instructors with experience using human rights books included in the 2021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Children’s Human Rights 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Research results: First, instructors were using 29 out of 70 books (including duplicates) selected as children’s human rights books in 2021 and 8 out of 10 topics, and the reasons for selection varied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se instructors were exposed t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Second, focusing on the three themes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 instructor’s experie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includes ‘life experience and human rights’ as education about human rights, ‘the scene of human rights education’ as education through human rights, and education for human rights. It was found to mean ‘the direction of human rights books’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discussed ways to improve children’s human rights books and what is needed for instructors and the human rights education environment.

한국어

지금까지 어린이를 위한 인권교육은 교육청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그대로 전달하거나, 가능한 인권을 많이 알려주는 형태로만 진행되었다는 한계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인권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어린이 인권도서 목록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제와 더불어 인권교 육의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교수자의 어린이 인권도서 활용 실태 및 선정이유와 인권교육 경 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1년 국가인권위원회 어린이 인권도서에 수록된 인권 도서 활용 경험이 있는 교수자 6명을 대상으로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 수자는 2021년 어린이 인권도서로 선정된 70종 중 29종(중복포함)을, 10개의 주제 중 8개의 주 제를 각각 활용하고 있었으며, 이들 교수자가 접하고 있는 교육환경에 따라 다양한 선정이유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인권교육의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교수자의 인권교육의 경험은 인권 에 관한 교육으로 ‘삶의 경험과 인권’을, 인권을 통한 교육으로 ‘인권교육 현장의 모습’을, 인권을 위한 교육으로 ‘인권도서의 방향’을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가 인권위원회 어린이 인권도서의 개선방안과 함께 교수자 및 인권교육 환경에서 필요한 것에 대하 여 논의하였다.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유수복 You, Su Bok.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유아교육과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