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무공학을 적용한 지상전투 MUM-T 운용개념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ission Engineering for Creating a Ground Combat MUM-T Operational Concepts

황승현, 이상승, 김주영, 심성준, 김경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emographic cliff, radical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government defense innovation accelerate the construction of AI-based manned and unmanned complex systems. Army will deploy numerous unmanned systems, and plan to transform all the combat units into Army TIGER by 2040. The purpose of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in the mission area applying mission engineering for deriving the operational concepts of a future infantry(combat vehicle) battalion in which manned and unmaned teaming systems are operated in 2040s. The reason why this approach is so important is that synergy effects can be achieved beyond a simple combination, depending totally on operational ways of manned and unmanned system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sepced capablity gaps are presented from technical research, doctrinal reviews, national defense policy research, and lesson learned from wars, and operational concepts archietecture and the mission scenarios structure including mission threads and tasks, and basic operational concepts were deriv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the mission scenarios structure and military operational concepts architecture based on the military’s fielding plan and unit structure development, beyond the previous research limitations of the individual weapon approach or strategic approach.

한국어

인구절벽과 급속한 기술 발전 및 정부의 국방혁신 추구에 따라 군은 AI 기반 유무인복합체계의 구축을 가속화하고 있다. 육군은 다수의 무인체계를 전력화하고, 모든 전투부대를 2040년까지 Army TIGER 부대로 전환할 계획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무인복합체계가 운용되는 2040년의 미래 보병(전투차량)대대 운용개념을 임무공학을 적용한 임무영역에서 도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방법이 중요한 이유는 유인과 무인체계로 구성된 팀을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유인과 무인체계의 단순한 합에서 그치지 않고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결과로는 기술 연구 및 교리적고찰, 국방 추진방향 연구와 전쟁 교훈으로부터 의심되는 능력격차를 제시하고, 기본 운용개념과 임무스레드와 과업을 포함한 임무 시나리오 구조와 운용개념 아키텍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개별 무기 접근 혹은 전략적 접근의 연구한계를벗어나, 군의 전력화 계획과 부대구조 발전을 기반으로 임무영역에서의 임무 시나리오 구조와 군 운용개념 아키텍처 발전에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초록
Ⅰ.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선행연구 고찰
1.3. 연구방향
Ⅱ. 임무공학 방법론
2.1. 임무공학 개념
2.2. 임무공학 절차
2.3. 임무공학 적용사례
Ⅲ. 지상전투 MUM-T 운용개념 정립을 위한 임무공학 적용방안
3.1. 지상전투 MUM-T 운용개념 작성을 위한 임무공학 적용 프레임
3.2. 문제진술 작성
3.3. 임무특성화
3.4. 지상전투 MUM-T 운용개념 아키텍처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황승현 Seunghyeon Hwang. 한국과학기술원 연구교수
  • 이상승 Sangseung Lee. 한국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 김주영 Jooyoung Kim. LIG넥스원 수석연구원
  • 심성준 Sungjun Shim. LIG넥스원 수석연구원
  • 김경수 Kyongsoo Kim. LIG넥스원 수석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