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삼국~남북국시대 치미의 변천과 특징

원문정보

The Tran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imi During the Three Kingdoms to North-South States Periods

최래인

한국기와학회 한국기와학보 제8권 2023.12 pp.66-10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was written to classify Chimi from the Three Kingdoms to North-South States Periods to summarize the process of change, and to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o this end, in Chapter Ⅱ, I attempted to analyze and classify the properties of Chimi excavated from the Three Kingdoms to the North-South States Period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ttribute that best reflected the changes in Chimi during the Three Kingdoms to North-South States Periods was the tail. Based on the attribute of columns, which clearly showed the process of change along with the tail,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three genealogies: Baekje(type I‧II), Goguryeo(type Ⅲ), and Silla(type Ⅳ). And through the above system setting, it was confirmed that Chimi was produced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the polities that existed in that space. In Chapter Ⅲ, the characteristics of Chimi from the Three Kingdoms to North-South States Periods were summari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mi materials were reviewed. As a result, from the Three Kingdoms to North-South States Periods the pattern of linked pearls was adopted as a decoration for the column, and the complexity of the overall decoration decreased, showing a tendency to miniaturize it. This trend is believed to have been mainly due to the influence of Chimi from the Sui and Tang Dynasty in China, and the degree of influence of the Sui and Tang style is thought to have differed depending on the Chimi’s genealogy. In addition, despite the influence of the Sui and Tang styles, the Chimi during the North-South States Periods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maintaining the decorative elements that had been decorated on the columns of the previous period by being marginalized to the body or wings. Lastly,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fact that Chimi was mainly excavated from temple ruins, and have limited the meaning of chimi to ‘auspicious symbols’.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Chimi was found in military sites and production sites and the fact that it spread from the capital to each regional center, it is judged that chimi had a stronger purpose for ‘showing off authority’ than ‘auspicious symbols’.

한국어

이 글은 삼국~남북국시대 치미를 분류하여 변천과정을 정리하여 보고, 그 특징과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삼국~남북국시대 출토 치미의 속성을 분석, 형식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삼국~남북국시대 치미들의 변화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속성은 꼬리임을 알 수 있었으며, 꼬리와 더불어 변천과정을 잘 나타내고 있는 종대 속성을 바탕으로 백제계(Ⅰ‧Ⅱ형식), 고구려계(Ⅲ형식), 신라계(Ⅳ형식)의 3가지 계통을 설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위와 같은 계통 설정을 통해 치미는 해당 공간에 존속했던 정치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삼국~남북국시대 치미의 특징을 정리하면서, 치미자료가 가지는 성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삼국시대를 거쳐 남북국시대에 이르러 치미는 종대 장식으로 연주문이 채택되고, 전체적인 장식의 복합도가 줄어들며 소형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주로 중국 수당대 치미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되는데, 치미의 계통에 따라 수당양식의 영향 정도는 달랐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남북국시대 치미들은 수‧당양식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이전 시기 종대에 장식되었던 장식 요소들이 동부나 날개 등으로 주변화되며 유지되는 특징을 보였다. 끝으로 그간 선행연구에서는 치미가 주로 사찰유적에서 출토되는 점에 주목하여, 치미의 의미를 ‘길상과 벽사’에 한정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치미자료가 관방유적이나 생산유적에서도 확인되는 점이나 도성에서 각 지역 중심지로 확산되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치미는 ‘길상과 벽사’보다 ‘권위의 과시’를 위한 목적이 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치미의 유형 및 계통 설정
Ⅲ. 치미의 특징과 의미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래인 Choi Rae-in. 충북대학교 석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