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different kinds of settlement units on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before the Chinese Ritsuryō Sei (律令制) was eventually adopted. The author focuses on trangulating and re-evaluating the first-hand texts including Sinitic phonograms (PG) and semantograms (SG), Katakana and Hankŭl occurring in chronicles, literatures, epigraphs and mokkan from China, Korea, and Japan, then attempts to reconstruct their lexical forms in ancient Korean including pre-OK and OK (Old Korean, from Unified Silla State period) from a historical linguistic perspective. The author concludes that semantically three groups of settlement units could have existed in ancient Korean: Group fa (伐) ‘city’, Group moulu (牟盧) ‘crowd, throng, group’, Group hu (忽), ji (己), and chengchi (城叱) ‘city, fortified city’. First, Group fa (伐) includes PGs beili (卑離)~ba (拔)~fa (伐)~fu (弗), fuli (夫 里)~fuli (富里), jufa (居伐)~juba (居拔)~jifuli (己富里)~jifuli (己富利), bo (波~彼), bo? (㶱), and SG huo (火), SGs ping (評)~ping (坪)~ping (平). This word is reconstructed as pre-OK **pu.ri > pre-OK **pɨl~**pʌl > pre-OK **pʌ which is a loan word from Sanskrit ‘puri’ meaning ‘city’. Second, Group moulu (牟盧) which most speculatively means ‘crowd, throng, group’ in pre-OK is attested, it includes PGs moulu (牟盧)~molu (模盧)~mouluo (牟羅)~maoluo (毛羅)~maoliang (毛良). The author reconstructed it as pre-OK **mu/o.ra > OK *mu/ol. Third, Group hu (忽), ji (己), and chengchi (城叱) includes three subgroups of PGs meaning ‘city, fortified city’ from Koguryŏ, Paekche, Silla are attested separately. Group hu (忽) has its origin from Koguryŏ which includes PGs goulou (溝漊)~gu (骨)~hu (忽), and SG dong (洞)~gu (谷). Group ji (己) includes PGs zhi (支)~zhi (只)~ji (基)~ji (己), which occurred frequently in Paekche and Japanese toponyms. Group chengchi (城叱) appeared in Silla hyangchal (鄉札) and PG zasi (雜思) in the Chaoxianguan-yiyu (朝鮮館譯語). The author reconstructed them as pre-OK **k/hu.ru > OK *k/hu/olLH in Koguryŏ as a pure Korean, pre-OK **kɨi in Paekche as a Sino-Korean of ji (基), pre-OK **tsa(i) > tsas in Silla as a Sino-Korean of zai (在).
한국어
이 논문은 고대 한반도 지역에 있는 거주지 단위와 관련된 어휘들에 대해 한국어 사적으로 탐구한 글이다. 본고는 한·중·일의 문헌 자료와 출토 자료를 포함한 일차 자 료에 나타난 차자표기자를 수집하고 검토하여, ‘伐’ 계열, ‘牟羅’ 계열, 그리고 ‘忽, 己, 城叱’ 계열의 이표기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고대한국어 시기에 있는 어휘 형태를 재구 하고 그 의미 및 어원을 추정해 보았다. 본고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伐’ 계열의 여러 이표기 중에는 ‘拔’자와 ‘伐’자보다는 ‘弗’자, ‘夫里’, ‘富里~富利’, ‘波~彼’자, ‘㶱’자가 표음적인 유효성이 더 높은 편이다. 이 어휘는 고대한국어 시기에 2음절로는 pre-OK **pu.ri로 실현되었고 2음절의 축약 형으로는 폐쇄음절로 pre-OK **pɨl (< pre-OK **pu.ri) 혹은 pre-OK **pʌl로 실현되 었다. 그리고 pre-OK **pʌl에 있는 음절말 [-l]의 탈락형으로는 pre-OK **pʌ로 실현 되었다고 추정한다. 이 어휘의 어원은 산스크리트어에서 ‘성’을 뜻하는 ‘puri’ 에서 유래한 것으로 상정한다. ‘牟羅’ 계열은 이표기 ‘牟盧’, ‘模盧’, ‘牟羅’, ‘毛羅’, ‘毛良’ 등을 포함한다. 이 단어 는 고대한국어에서 pre-OK **mu/o.ra > OK *mu/ol로 실현되었고 한국어 고유어로 ‘몰림, 모음’을 의미함을 추정했다. ‘忽, 己, 城叱’ 계열은 지역적으로 북방계의 ‘忽’ 계열, 남방계 백제의 ‘己’ 계열과 남방계 신라의 ‘城叱’계열로 나누었다. ‘忽’ 계열은 북방계 기원의 ‘성, 산성’을 뜻하는 단어로서 시기별로 pre-OK **k/hu.ru > OK *k/hu/olLH > MK [kolLH]로 존재하였다. ‘己’ 계열은 남방계 백제 기원의 ‘성, 산성’을 뜻하는 단어로서 한자어 ‘基’를 차용한 것이었고 시기별로는 pre-OK **kɨi > OK *kɨi로 추정했다. ‘城叱’계열은 남방계 신라 기원의 ‘성, 산성’을 뜻하는 단어로서 시기별로는 pre-OK **tsa(i) > OK*tsa(s) > MK [tsasH]으로 추정했다.
목차
1. 서론
2. ‘伐’ 계열 (pre-OK **pu.ri > pre-OK **pɨl~**pʌl> pre-OK **pʌ ‘성’1))
3. ‘牟羅’ 계열 (pre-OK **mu/o.ra > OK *mu/ol‘몰림, 모음’)
4. ‘忽, 己, 城叱’ 계열 (pre-OK **k/hu.ru > OK*k/hu/olLH; pre-OK **kɨi; pre-OK **tsa(i) >OK*tsas ‘성, 산성’)
5.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