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xamine the concept and scope of ‘Hapja’ with a focus on the content of
한국어
이 논문은 <合字解>의 내용을 중심으로 ‘合字’의 개념과 범위를 다시 논의하고, <合字解>에 제시된 내용의 통일성, 즉 그 내용의 적절성과 타당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合字’는 음절을 바탕으로 한 고유어 표기법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초 성자, 중성자, 종성자의 결합을 통한 음절 표기뿐만 아니라 중세 국어의 특성상 음절 을 정확하게 표기하기 위해서 성조를 나타내는 방점의 표기 역시 ‘合字’의 개념에 포 함되어야 한다. 또한 <合字解>에서 제시한 특별한 자모 관련 언급 내용은 고유어 표 기와 관련된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合字解>의 내용적 통일성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목차
1. 서론
2. ‘合字’ 관련 개념과 서술 내용
3. <合字解>에서의 기본적인 ‘合字’ 개념과 관련 내용
4. ‘合用’과 ‘合字’의 관련성
5. ‘文與諺雜用’과 ‘合字’의 관련성
6. ‘방점’ 표기와 ‘合字’의 관련성
7. ‘ㆆ’과 ‘ㅇ’, ‘ ’, ‘’와 ‘’ 표기와 ‘合字’의 관련성
8.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