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중 부동산 앱(App) 필터 기능의 UI/UX 비교 연구 : 한국 앱 다방, 직방과 중국 앱 베이커자오팡(⾙殼找房), 안주커(安居客)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UI/UX of filter function of Korea and China real estate app : Focusing on Korea apps Dabang, Zigbang and China apps Beikezhaofang, Anjuke

조자온, 송지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e to language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Chinese foreign students in Korea use real estate apps as their main means of renting apartments. Real estate apps are the main point of contact in the design of real estate servic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not only can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 community be clarified through the screening function of UI/UX, but also the design features presented by the apps can be reflected in the user experience. Therefore, using literature analysis, case study, and other research methods, we took 다방 and직방 in Korea and shell and Anjuke real estate apps in China as the scope of the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design and UI/UX, as well as the specific differences in the screening functions of real estate apps in the two countries, and further summarize how they affect the user experience in the service design. The study mainly concludes the following: first,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in the layout and form of the screening functions of the two countries' apps, which is the root cause of the inconvenience for international students; second, the two countries have their own strengths in content classification levels and information optimization; and third, the two countries should learn from each other in the form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but both countries are very weak in the area of intelligent suggestions, which needs to be further strengthened.

한국어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은 언어와 환경 상의 제약으로 인해 아파트 임대의 주요 수단으로 부동산 앱을 주로 사용한다. 부동산 앱은 유학생과 부동산 서비스 디자인의 주요 접점이라 할 수 있는 UI/UX 필터링 기능을 통해 유학생 커뮤니티의 요구와 기대치를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뿐 아니라 앱이 제시하는 디자인 특징을 사용자 경험에도 반영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문에서는 문헌 분석, 사례 연구 등의 연구 방법을 통해 한국의 다방과 직방, 중국의 베이커자오팡과 안주커 부동산 앱을 연구 범위로 하여, 서비스 디자인과 UI/UX의 관계와 두 나라 부동산 앱의 선별 기능의 구체적인 차이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서비스 디자인에서 사용자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리해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첫째, 양국 앱의 심사 기능의 레이아웃과 형식에 명백한 차별성이 있으며, 이는 유학생이 불편을 겪는 근본 원인이다. 둘째, 콘텐츠 분류 계층 구조 및 정보 고도화 측면에서 양국이 각자의 강점을 가지고 있다. 셋째, 양국의 앱은 필터 기능의 선별 개성화에서 상호 학습의 필요성이 있으며, 선별의 스마트화에서는 여전히 취약한 편이며, 지속적인 강화 및 혁신의 필요성이 있다.

목차

Abstract
요약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배경
2.1. 서비스 디자인의 개념
2.2. UI/UX의 이해
2.3. UI/UX 필터 기능의 서비스 디자인
3. 한국과 중국 부동산의 UI/UX 필터 기능 분석
3.1. 한국 부동산 UI/UX의 필터 기능 분석
3.2. 중국 부동산 UI/UX 필터 기능 분석
3.3. 한국과 중국 부동산의UI/UX 필터 기능 비교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자온 Zhao, Zi-Yun. 한양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송지성 Song, Ji-Sung. 한양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