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元和本和名類聚抄 地名의 付訓表記에 있어서 字音 및 字訓의 轉用에 대하여

원문정보

About the Phonetic and Ideographic Chinese Character Reading of Place Names in Wamyosyo

원화본화명유취초 지명의 부훈표기에 있어서 자음 및 자훈의 전용에 대하여

李成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surveyed diverted examples about phonetic and ideographic Chinese character reading in place names of Gennahon–Wamyosyo, which is different from those in Manyo and so on. In phonetic reading, the diversion of 「‘m’ final consonant→マ line」 and 「‘n’ final consonant→ナ line」 seems the result of the original nasal–final consonant of Chinese language. However, there is an exceptional case that ‘n’ final consonant became ウ・ム・ル, non–alveolar nasal sounds. Meanwhile, it is general to read ウ・イ instead of ‘ŋ’ final consonant in Japanes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The 「‘ŋ’ final consonant→カ・ガ line」 is an exceptional case that shows the reflection of original Chinese sound by articulation place. Also there are other exceptional cases such as 「‘p’ final consonant→ミ」, 「‘k’ final consonant→ツ・ト・ナ・ハ」. In ideographic reading, there are lots of diverted examples of ウ→ム, ニ・ヌ→ム, リ・ル→ム. Many other diversions of ideographic reading show only one example. It is that the Chinese characters of place names became corrupt words.

한국어

元和本和名類聚抄에서 地名의 읽기를 나타내는 付訓表記에 있어서 漢字의 읽기가 萬葉 등에서 보이는 音・訓과 다른 異形이 다수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도 字音 및 字訓이 轉用된 것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字音에 있어서 m韻尾를 マ行, n韻尾를 ナ行으로 轉用한 것은 中國語原音인 鼻音韻尾를 충실하게 反映한 결과로 보인다. 다만 n韻尾를 非齒莖鼻音系인 ウ・ム・ル로 轉用한 것은 異例的이다. 한편 ŋ韻尾는 日本語 漢字音에서는 ウ・イ로 表記되는 것이 一般的인데, カ(ガ)行으로 轉用한 것은 異例的이라고 할 수 있지만, ŋ韻尾의 中國語原音이 軟口蓋音이기 때문에, 동일한 調音位置에 있는 カ(ガ)行으로 表記함으로써 原音을 충실하게 反映하려는 意圖로 볼 수 있다. 또한 中國語原音의 入聲韻尾에 있어서는 p韻尾를 ミ로, k韻尾를 ツ・ト・ナ・ハ로 轉用한 것은 異例的이라고 할 수 있다. 字訓에 있어서는 「ウ→ム」 「ニ・ヌ→ム」 「リ・ル→ム」로 轉用된 用例가 複数로 존재한다. 기타 字訓의 轉用은 一例的인 경우가 다수 존재하는데, 그 理由로는 地名의 漢字가 轉訛된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목차

1. 머리말
2. 본론
2.1. 字音의 轉用
2.2. 字訓의 轉用
3.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李成根 이성근. 수원대학교 외국어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