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포스터 세션 P5

생물혼합 특성을 반영한 퇴적물 내 흡착제의 안정화 성능 예측모델 : 작동 원리 및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초록

한국어

오염된 퇴적물의 효과적인 관리와 복원은 지속 가능한 환경 보전을 위한 중대한 과제이다. 이러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오염된 퇴적물 내 다양한 오염원의 거동을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오염물질의 거동을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모델이 개발되었다. 이 모델을 활용함으로써, 흡착제의 안정화 성능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실험실 규모에서의 안정화 성능 측정 실험은 실제 현장 조건과는 다를 수 있는 한계를 지닌다. 특히, 현장의 퇴적물에서는 다양한 저서 생물의 활동으로 인해 퇴적물과 안정화제가 물리적으로 혼합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안정화 성능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의 안정화제 혼합 활동과 같은 생물학적 요소를 안정화 성능 예측 모델에 포함시켜 저서 생물이 활동하는 퇴적물 내에서 흡착제의 안정화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나아가 생물 혼합 특성을 모델에 적용하는 원리를 상세히 분석하고, 이를 다양한 실제 실험 결과와 비교 검증함으로써, 모델의 예측 능력을 실질적으로 입증하였다. 연구에서는 안정화제를 혼합한 퇴적물에 Lumbriculus variegatus를 주입한 후 14일, 28일 차에 총 유기 탄소(TOC)를 측정하여 안정화제의 층별 혼합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에 개발한 안정화 성능 예측 모델에 생물 혼합 인자인 dt_bio를 추가하여 기간별 안정화제의 혼합율을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하고, 실험 조건을 가장 잘 반영하는 dt_bio 값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퇴적물 오염 관리 및 안정화 기술의 이론적 기반을 강화하고, 실제 환경 복원 작업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정보

  • 이현민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LE THI NGOC QUYNH 부산대학교 환경복원실험실
  • 박서연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최용주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