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ase Study on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Street in Korea and China : Centering on the Traditional Cultural Streets of Tianjin, China and Insa-dong, Korea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form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streets with two examples of China's "Tianjin Traditional Culture Street" and Korea's "Insa-dong Traditional Culture Street," and explored the current statu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riginating from the 1400s, Tenjin Traditional Culture Street became a major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t destination in 1987 thanks to the support and maintenance of the authorities. Handcrafts, plays, and foods mainly inherit and reproduce the Qing Dynasty, and you can enjoy Tianjin's own traditional culture. Meanwhile, the traditional cultural street in Insa-dong, Seoul, was formed around antique stores, archaeological art galleries, and galleries in the background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rough Joseon and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coexistence of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style, food, and culture and arts, multinational elements are combined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f "traditional culture." In conclusion, the image of Tianjin Traditional Culture Street is implied by "tradition," "culture," and "uniqueness," while the image of Insa-dong Traditional Culture Street is implied by "tradition," "artistry," and "diversity." It is time for an extended study on "traditional culture street" as an open and horizontal space where the succession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the needs of modern people are satisfied.
한국어
본 연구는 중국 ‘톈진(天津) 고문화거리’와 한국 ‘인사동 전통문화거리’를 사례로 전통문화예술거리 형성의 역사적 맥락을 고찰하고, 현황과 특징, 시사점을 탐색한다. 1400년대로부터 기원한 톈진 고문화거리는 1986년 당국의 지원 과 정비에 힘입어 주요 역사문화 관광지로 자리매김했다. 건축, 수공예, 연극, 음식 등은 주로 청나라 시대를 계승, 재현하고 있으며 차별화된 톈진 고유의 전통문화를 즐길 수 있다. 한편, 인사동 전통문화거리는 조선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근현대사 배경 속에서 골동품상점과 고고미술화랑, 갤러리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한국 전통의 주거 양식과 음식, 문화예술이 공존하는 가운데 다국적 요소들이 접목되어 ‘전통문화’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톈진 고문화거리는 ‘전통성’, ‘문화성’, ‘고유성’으로 인사동 전통문화거리는 ‘전통성’, ‘예술성’, ‘다양성’으로 그 특징을 함축 할 수 있다. 이에 전통문화의 계승과 보전, 그리고 현대인들의 욕구가 충족되는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공간으로서 ‘전 통문화거리’에 대한 확장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3. 연구대상 및 범위
Ⅱ. 톈진 고문화거리
1. 개요 및 형성과정
2. 현황 및 특성
Ⅲ. 서울 인사동 사례
1. 개요 및 형성과정
2. 현황 및 특성
Ⅳ.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