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슈퍼비전 인식과 활성화 방안

원문정보

A Study on Supervision Awareness and Activation of Living Rehabilitation Social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이경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iscussions on raising supervision-related awareness and activating supervision in the facility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living rehabilitation social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living rehabilitation social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Chungnam province. The main categories of interviews were basic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supervision by living rehabilitation social workers, the reality and limitations of supervision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he demand for systematization and internalization of supervision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ccordingly, 5 key topics and 14 sub-topics were derived. Based on this, it proposed the urgent need for education to raise supervision awareness for disabled residents, enhance the role and capabilities of superviso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work, form a relationship-based organizational culture for stable supervision execution, and systematize supervision at the level of facility operation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disabled resi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생할재활교사의 슈퍼비전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시설 내 슈퍼비전 관련 인 식 제고와 슈퍼비전 활성화 논의의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남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 사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면담의 주요 범주는 생활재활교사들의 슈 퍼비전에 대한 기본인식과 기대, 장애인거주시설 내 슈퍼비전 현실과 한계 인식, 장애인거주시설 슈퍼비전 체계화 및 내실화를 위한 요구였으며, 그에 따른 내용분석 결과 5개의 핵심주제 및 14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를 기 반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에 대한 슈퍼비전 인식 제고 교육의 시급함, 시설 업무특성에 입각한 슈퍼바이저의 역할과 역량 제고, 안정적 슈퍼비전 실행을 위한 관계 기반 조직문화 형성, 장애인거주시설의 특수성을 반영한 시 설운영 차원의 슈퍼비전 체계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2.1 사회복지 슈퍼비전의 정의와 기능
2.2 장애인 거주시설과 슈퍼비전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3.1 연구대상자 선정
3.2 연구문제 및 자료수집
3.3 자료 분석
3.4 연구 윤리적 고려
Ⅳ. 연구결과
4.1 사회복지 슈퍼비전의 목적과 필요성
4.2 거주시설 슈퍼비전의 기능과 역할
4.3 시설 내 슈퍼비전 체계와 기능화 수준 인식
4.4 시설 내 슈퍼비전 실행의 근본적 한계
4.5 슈퍼비전 인식 제고와 실행 요구
Ⅴ.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경준 Kyong Jun Lee. 중부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