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존분석을 활용한 GPF사업의 연구 성과 분석

원문정보

The Analyzing the GPF Program’s Research Outcomes using Survival Analysis

김지연, 채재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timing and influencing factors of research outcomes (article publication, conference presentation) by beneficiaries of the 2nd phase of the GPF, a program that supports graduate student-led research, through the survival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in the case of 'article publication outcomes', 75% of project beneficiaries achieved their first results within ninth month after the GPF starte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ed the outcomes. In the case of 'conference presentation performance', 75% of project beneficiaries achieved their first results within 20 months after the start of the GPF. Only the 'type of degree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designing a follow-up project,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timing of the first research output by beneficiaries and offer incentives to continue to produce research outputs.

한국어

본 논문은 ‘글로벌박사양성사업(GPF사업)의 종료를 앞둔 시점에서 해당 사업이 대학원생의 연구 성과 산 출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PF사업 2단계 수혜자의 연구 성과 자료를 대상으로 ‘생존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사업 수혜자별 첫 연구성과(논문게재, 학술대회발표)의 산출 시점 및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논문게재 성과’의 경우 수혜자의 75%가 사업 지원을 받은 후 9개월 내 첫 성과를 산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논문게재 성과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은 없었다. 반면, ‘학술대회발표 성과’ 의 경우, 수혜자의 75%가 사업 지원을 받은 후 20개월 내로 첫 성과를 산출하였으며, ‘학위과정 유형 변수’가 학 술대회 발표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후속사업 설계시 수혜자별로 첫 연구성과 산 출 시점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부진한 수혜자 대상의 멘토링 및 지속적인 연구 성과 산출을 위한 인 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글로벌박사양성 사업의 개요
2.2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3.1 분석 대상
3.2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4.1 기술 통계 분석
4.2 논문게재 성과
4.3 학술대회발표 성과
Ⅴ.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지연 Kim Jee-yeon. 지방교육재정연구원 특교연구팀장
  • 채재은 Chae Jae-Eun. 가천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