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제시, 스크린 페미니즘, 그리고 호의적 행위주체성의 힘
초록
영어
In contemporary K-pop there seems to be a rise in the amount of womanist cultural products that are part of a wave of home-grown, Korean-style “screen feminism” that must operate under semiotic cover, using the plausible deniability of the bukae in the name of art to not be accused of being a western-style “feminist.” I posit the notion of a “complaisant agency” that, like “docile agency” encompasses the meaning of willingly consenting to acquiring skills or the requisite tools needed in a field in which one cannot mount formal, visible resistance, while yet appearing to actively flourish and emotionally comply to standards and behaviors in the field. It is through the deceptive cover of “complaisant agency” that performers can stage cultural productions that are seemingly complicit in master narratives of subjugation but yet contain Trojan horses that explode with the potential to mount semiotic resistance and become a means to transgress. Counter to narratives that ascribe complicitly in the disempowerment of women to K-pop, in this paper I identify how some K-pop artists are engaged in the production of a new vision around women in Korean society.
한국어
오늘날 케이팝에서 한국식의 “스크린 페미니즘”의 일환인 여성주의 문화적 산물이 증가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스크린 페미니즘은 서구식 “페미니스트”라는 비난을 받지 않기 위해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그럴듯하게 부정할 수 있는 “부캐”를 사용하는 기호학적 위장 하에서 작동되어야 한다. 나는 “호의적인 행위주체성”의 개념을 상정하는데, 이는 “순종적인 행위주체성”처럼 형식적이고 가시적인 저항을 불러일으킬 수 없는 분야에서 필요한 기술이나 수단을 기꺼이 습득하는데 동의하는 의미를 포함하면서도, 적극적으로 번성하고 감정적으로 그 분야의 기준과 행동양식에 순응하는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이 “호의적인 행위주체성”의 기만적 위장을 통해서 공연자들은 복종의 지배적 서사에 연루되는 것처럼 보이는 문화적 산물을 무대에 올릴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문화적 산물은 저항을 불러일으킬 잠재력을 가지고 위반의 장소가 될 수 있는 트로이의 목마같은 기능 을 한다. 케이팝에서 여성의 권한축소 속에 연루되는 서사에 대항하여 나는 이 논문에서 일부 케이팝 아티스트들이 한국 사회에서 여성을 둘러싼 새로운 비전을 생산하는데 참여하는 방법을 조사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정보를 제공하는 참여관찰적 문화기술지 및 사진 이미지 분석을 실시한다.
목차
초록
Ⅰ. INTRODUCTION
Ⅱ. DOCILE AGENCY
Ⅲ. HO IN CHARGE
Ⅳ. GENDER WARS: BUKAE AS DEFILADE
Ⅴ. SCREEN FEMINISM AND“THE PRODUCTION OF NEW VISION”
Ⅵ. BEYOND OBJECTIFICATION
Ⅶ. DANCING LESS
Ⅷ. CONCLUSION, THE GIRL GAZE, AND THE EMERGENCE OF NEW JEANS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