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화학적 발포 공정이 PBAT 발포 셀 구조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기계적, 물리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원문정보

Effect of Chemical Foaming Process on the Cellular Structure Development and Correlation with the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y of PBAT

지영호, 박태형, 추지은, 황성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biodegradable polymers with high ductility and processability to replace petroleum-based polymers. Many investigations have been conducted to broaden the applications of PBAT in a variety of industries, including the food packaging, agricultural mulching film, and logistics and distribution fields. Foaming process is widely known technique to generate the cell structure within the polymer matrix, offering the insulation and light weight properties. However, there was no commercially feasible foam product based on biodegradable polymers, especially PBAT, and maintaining a proper melt viscosity of the polymer would be a key parameter for the foaming process. In this study, chemical foaming agent and cross-linking agent were introduced to PBAT, and a compression molding process was applied to prepare a foam sheet. The correlation between cell morphological structures and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was evaluated. It was found that PBAT with foam structures effectively reduced the density and thermal conductivity, allowing them to be suitable for applications such as insulation and lightweight packaging or cushion material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PBAT의 가교 개질을 위해 DCP를 도입 하였고 화학발포제인 ADC를 PBAT에 분산시킨 후 압축성형 공정으로 발포제의 분해를 통해 셀을 형성하여 시트 형태의 PBAT 발포체를 제작하였다. FT-IR 분석을 통해 DCP의 분해를 확인하였으며 DCP 함량에 따른 PBAT의 용융 흐름 지수를 비교하여 가교로 인한 용융 점도의 향상 을 확인할 수 있었다. DSC 분석을 통해 열적 특성을 비교 한 결과 Tc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DCP 첨가로 인한 가교 반응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TGA 분석 결과를 통해 DCP의 첨가가 열 안정성의 유의미한 차 이를 야기시키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발포 시트의 DCP 함량 별 기계적 물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B_D3에서 다소 낮은 인장강도를 보였으며 PB_D3의 큰 셀 사이즈로 인해 응력 전달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인장 강도 및 연신율이 감소하였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DCP 함 량 증가에 따라 발포 셀의 개수는 감소하였으나 평균 셀 사이즈는 증가하였고 가장 큰 PB_D3의 평균 셀 사이즈로 인해 발포 시트의 밀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이러한 큰 셀의 사이즈와 낮은 밀도는 열전도도를 감소시키는 요 인으로 작용하여 PB_D3 발포 시트의 경우 최대 0.066W/ mk 까지 감소시킬 수 있었기에, 단열 특성을 지닌 생분해 성 발포 시트로의 활용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재료
2. 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FT-IR 분석
2. 용융 흐름 지수 분석
3. 열 분석
4. 기계적 물성 분석
5. 셀 모폴로지 분석과 발포 특성
6. 열전도도 분석
요약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정보

  • 지영호 Yeong ho Ji.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 박태형 Tae Hyeong Park.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 추지은 Ji Eun Choo.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 황성욱 Sung Wook Hwang.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