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직무불안정성이 이직의도와 OCB에 미치는 영향력과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Th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and OCB of Job Insecur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황경원, 고종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employee’s job insecurity. So to verify the effects on the moderating variab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ethodology] For ver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established the variable as followings; First, the independence variable established the organization change and job change. Second, the result variable established turnover intention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the moderating variable established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o investigate the variable inter-relationship used th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 For this study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of 100' corporate employees who had worked in J-city industrial complex. [Finding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job change of job instability had a high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job change had a high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lays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job insecurity, but it has a high impact on job change. [Impl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maximizing the emotional health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job instability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rapidly changing environmental changes and suggesting ways to minimize it.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직무소멸에 대한 부정적 정서로서 직무불안정성이 조직성과로서 이직의도와 조직시 민행동(OCB)에 미치는 영향력과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왜냐하면 최근의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과정에서 요구되는 조직혁신과 새로운 직무수행 능력으로 인한 직 무불안정부동산과 청년 재테크 3장 강의자료성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서 유능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이 들의 능력을 활용하여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직무불안정성과 관련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변수와 가설을 설정하고 본 연구의 목 적에 적합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또한 설문지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고 다중회귀분석과 계층적 회귀분 석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업단지의 기업근로자 100명으로 하 였으며 표본은 편의추출방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직무불안정성의 직무변화는 이직의도에 직무변화는 OCB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지원인식은 직무불안정성에 대한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직무변화에 대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따라서 본 연구는 급변하는 조직의 혁신활동과 직무수행능력으로 인식하는 조직구성원의 직무불안정성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유능한 인적자원의 이탈을 최소화하고 능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직무소멸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최소화하고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본다.

목차

< 국문요약 >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가설 설정
2.1 직무불안정과 이직의도
2.2 직무불안정성과 OCB
2.3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Ⅲ. 연구의 설계와 방법
3.1 연구모형 및 분석기법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3 변수의 신뢰도와 타당도
Ⅳ. 가설검증
4.1 가설 1의 검증
4.2 가설 2의 검증
4.3 가설 3의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황경원 Hwang, Kyung Won. 박사과정, 원광대학교 경영학과
  • 고종식 Ko, Jong Sik. 부교수, 원광대학교 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