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아스포라 논문

『작은 땅의 야수들』에 나타난 한반도 서사와 무위(無爲)의 공동체

원문정보

The Narrative of the Korean Peninsula [Hanbando] and the Community of Inaction in Beasts of a Little Land

박래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Korean-American writer Kim Joo-hye's Beasts of a Little Land by applying Jean-Luc Nancy's theory of ‘community of inaction’. It depi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ninsula community that individuals sought to form in the turbulent Korean Peninsula, which went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Korean War. It elaborately presents the incomplete nature and elasticity of 'I' and 'We' in the Gisaeng (Korean geisha) group represented by Eun-sil, Dan-i, Ok-hee, etc., and the relationship with Myeong-ho, Ok-hee, etc., centered on Jeong-ho, a descendant of a tiger hunter family. It also shows the situation of an outsider without a fixed center, the contrast/opposition between intellectuals Myeong-bo and Seong-su, and the aspects of the luxurious tastes of Japanese aristocrats who are absorbed in the desires of rulers in the gap. The introduction deals with the meaning of the tiger symbol and points out the basis of the Korean Peninsula sentiment that dominates this work. In the main tex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 types, we demonstrate the process by which each individual reaches the non-actional sense of community of the Korean people. The concepts of ‘co-in-existence’ and ‘existence’ drive the fusion of independent characters in the narrative contex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haracters reach a ‘co-in-existence’ in which individuals stand in solidarity with each other, or traverse the middle of history by sharing the tasks [mission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heir relationship structure has a motility that not only affects but is also affected from ‘me’ (single-handedness, individual) to the others, and the others to ‘me,’ or ‘me’ to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to ‘me.’

한국어

이 논문은 한국계 미국인 작가 김주혜의 『작은 땅의 야수들』(BEASTS OF A LITTLE LAND)1)을 장-뤽 낭시(Jean-Luc Nancy)의 ‘무위의 공동체’론을 적용하 여 분석하였다. 일제강점기를 거쳐 6·25라는 수난을 겪은 격동의 한반도에서 개인들이 형성하고 있는 한반도적 공동체의 특성을 묘파한다. 은실, 단이, 옥희 등으로 대표되는 기생 집단 속 ‘나’와 ‘우리’의 미완적 자성(磁性)과 탄성(彈性), 호랑이 사냥꾼 집안의 후손 정호를 중심으로 명호, 옥희 등과의 관계가 야기하는 고정된 중심이 없는 외존의 형국, 지식인 명보-성수의 대비/대립, 격란의 틈새에서 지배자 적 욕망에 함몰된 일본 귀족·장교의 호사 취향이 드러내는 양상들을 정교하게 제시 하고 있다. 서론에서는 호랑의 표상의 의미를 다루어 작품 전반에 깔려있는 한반도 정서의 근간을 살핀다. 본론에서는 등장 인물의 유형 분석을 통해 각각의 개인들이 한민족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에 닿아가는 과정을 논증한다. ‘공동-내-존재’와 ‘외 존’ 개념은 독립적 인물에 관해 한반도 서사의 맥락에서 정동(情動, affect)을 견인 한다. 등장 인물들은 개인이 개인에 연대하는 ‘공동-내-존재’에 이르거나, 개인과 공동체의 과제[임무]를 분유(分有, partage)2)하며 역사의 한가운데를 횡단한다. 이들의 관계구조는 ‘나’[단수성, 개별자]3)에서 타자에게로, 타자가 ‘나’에게로 또는 ‘나’에서 공동체로, 공동체에서 ‘나’에게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영향을 받기도 하는(affect and be affected)’ 운동성을 갖는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호랑이 표상의 의미
2. 해체된 개인의 도약과 공동체 의식으로의 전환
1) 기생 집단과 ‘공동-내-존재’
2) ‘부랑아’ 이야기와 ‘우리’로의 환원
3) 지식계층의 당대 인식과 무위(無爲)
3. 결론: 행위의 가치와 ‘무위(無爲)의 공동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래은 Park, Rae-Eun. 동국대(서울) 국어국문학과 박사 졸업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