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기획주제 1 ] 제주 관련 문화 텍스트

일제강점기 검열을 통해서 본 사상 통제의 양상과 제주도

원문정보

Patterns of Thought Control Through Censorship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Jeju Island

김정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case of the suppression of the Jeju Island Thought Movement in the 1920s. Imperial Japan implemented a strict policy of thought control to obstruct anti-Japanese will and prevent the introduction of socialist and anarchist ideas on Jeju Island. However, the organizations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socialism and anarchism on Jeju Island have continued to fight for independence and engaged in resistance movements against anti-imperialism. Therefore, by examining thought movements and censorship on Jeju Island, we aimed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thought control on the island by Imperial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mperial Japan classified the student strike incident that took place on Jeju Island as a thought movement and implemented an aggressive policy of suppression, thoroughly censoring not only institutional publications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but also non-institutional publications such as essays or poetry. Nevertheless, socialists and anarchists on Jeju Island continued to organize secret societies and groups to advance their thought movements. We were also able to confirm that these records were preserved in a censored document, the Chosun Gyoengchal Wolbo. The materials Chosun Gyoengchal Wolbo focused on were three manifestos related to Jeju Island. The manifestos were all published in Japan but written in Korean. This showed that the standards of censorship were applied differently in Japan and Korea, and that censorship was actually more intense in Korea. We also found that the manifestos were intended to share specific information or awareness of problems with Koreans living in Japan. The content of the manifestos were critical of Japan's exploitation of the Korean people through the Jeju Island and Osaka sea route, and we can see that they attempted to publicize the issue to the Koreans living in Osaka. However, the manifestos criticizing the exploitative structure of the Koreans was subject to intense suppression, and not only were the manifestos censored, but the individuals involved were arrested, demonstrating the intense control policies that were implemented.

한국어

본고는 1920년대를 대상으로 제주도 사상운동에 대한 탄압의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국 일본은 제주도의 항일의지를 차단하고 사회주의와 아나키즘 사상의 유입을 막고자 강력한 사상 통제 정책을 시행하였다. 하지만 제주도에서 사회주의와 아나키즘의 유입과 확산에 중요한 역할 을 했던 단체들은 지속적으로 독립과 반제국에 대한 저항운동을 지속해 왔다. 이에 제주도의 사상 운동과 검열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알제강점기 제국 일본의 제주도에 대한 사상 통제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제국 일본은 제주도에서 발생한 학생들의 맹휴 사건을 사상운동으로 분류하고 적극적인 탄압 정책을 시행하였으며, 신문과 잡지 같은 제도적 추판물 뿐만 아니라 작문과 격문 같은 비제도적 출판물에 대해서도 철저 한 검열과 행정처분 조취를 시행하였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 도의 사회주의자와 아나키스트들은 지속적으로 비밀결사나 단체를 조직 하여 사상운동을 전개해나갔다. 그리고 이러한 기록이 검열 문건인 『조선출판경찰월보』에도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출판경찰월보』에서 주목한 자료는 제주도와 관련된 세 건의 격문이다. 격문은 모두 일본에서 발행되었지만 조선어로 작성되었다. 이를 통해 검열의 기준이 일본과 조선에 각기 다르게 적용되었고 실제로 조선에 대한 검열이 강도 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 내지에 거주하는 조선인들에게 특 정 정보나 문제의식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격문이 제작되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격문의 내용은 제주도와 오사카 항로 문제를 통해 조선 인들을 수탈하는 일본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는데, 오사카에 거주 하는 조선인들에게 공론화하고자 시도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조선인들에 대한 착취 구조를 비판하는 격문은 강도 높은 탄압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으며, 문건에 대한 검열뿐만 아니라 관련된 인물들까지 검거되는 등 강도 높은 통제 정책이 시행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일제강점기 사상 통제의 방향성과 제주도
3. 『조선출판경찰월보』에서 확인되는 제주도 관련 검열 자료의 의미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화 Kim, Jeong-hwa. 선문대학교 인문미래연구소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