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기획주제 1 ] 제주 관련 문화 텍스트

『화산도』에 나타난 제주 지역의 장소성과 문화관광콘텐츠 제작 방안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Jeju Region's Placeness and Cultural Tourism Contents Production Shown in Hwasan-do

김민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wasan-do is a novel that tackles Jeju as a liberated space and the 4・3 Incident head-on.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laceness of Jeju Island in Kim Seok-beom's epic novel, Hwasan-do, and explore whether it can be utilized as cultural tourism contents. The full translation of Hwasan-do was published in 2015, bringing it closer to Korean readers. The spaces in Hwasan-do can be said to be newly created narrative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novelist Kim Seok-beom. These are not irrelevant to the contemporary perception of Jeju residents as marginalized men, and are also closely connected to Kim's work on identity exploration. In the end, the status of Hwasan-do is very unique in that it is an epic recreation of a part of history that has been failed to be recorded. In this article, we attempt to investigate and organize the sites of the recent 4・3 Incident and discuss how they can be utilized as part of a cultural tourism program. In the case of cultural exploration programs, efforts to inform the public about literary works deemed to be closely related should be mad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pplied exploration programs, such as the database of literary materials, the creation of monuments, and the development of contents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f smartphones.

한국어

『화산도』는 해방공간으로서의 제주와 4・3사건을 정면으로 다루고 있는 소설이다. 이 글은 김석범의 대하소설 『화산도』가 지닌 제주도 지역의 장소성을 살펴보고, 이를 문화관광콘텐츠의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을지 를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화산도』는 2015년 완역 출간됨에 따라 한국어 독자들에게 보다 가깝게 다가올 수 있었다. 『화산도』 속의 공간들은 소설 가 김석범의 관점에서 새롭게 창조된 서사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제 주도민이 지닌 경계인으로서의 당대적 인식과도 무관하지 않으며, 김석 범이 지닌 정체성 탐구 작업과도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결국 역사로 미처 기록되지 못한 부분들이 서사적으로 재현된다는 점에서 『화산도』 가 지니는 위상은 매우 특이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4・3사건의 유적지들을 조사, 정리하고 이를 문화관광프로그램의 차원에 서 활용하려는 시도와 함께 『화산도』 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문화답사 프로그램의 경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문학작품을 대중에게 알리는 노력과 함께 문학자료의 데이터 베이스화, 기념물 조성, 스마트폰의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 등으로 응용된 답사 프로그램 개발이 함께 모색되어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화산도』의 서사 공간과 장소성
2.1. ‘화산도’: 제국과 분단 사이의 이중적 공간
2.2. ‘동굴과 성내’: 비역사성의 서사적 재현
3. 문화관광분야에서의 『화산도』의 활용방안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민수 Kim, Min-su.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