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봉제산업의 공진화 변수들의 시계열 분석

원문정보

Time Series Analysis of Co-evolving Variables in the Garment Industry

권기용, 추호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that affects the growth of the sewing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co-evolution. To this end, we designated listed fashion brand companies and the apparel wholesale industry as the trading partner factor, with the minimum wage identified as the institutional factor. In the case of the sewing contractor industry, analyses were conducted separately for the overall industry and the micro-sized industry. For quantitative analysis, profitability indicators for fashion brand-listed companies and those in the apparel wholesale industry were utilized.In the sewing contractor industry, the analysis utilized the total number of companies and workers. Time series data were obtained from Statistics Korea and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Granger causality analysis was performed.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nimum wage, as an institutional factor, is a leading variable affecting the overall sewing contractor industry, the number of micro-sized sewing contractor companies and workers, with a time lag of one period. In the analysis, fashion brand listed companies were identified as a leading variable that impacts the total number of workers with a two-period delay (2 lag), but influences the number of micro-sized sewing contractor companies after a three-period delay (3 lag). Additionally,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icro-sized sewing contractor industry affects the apparel wholesale industry with a two-period delay (2 lag).This suggests that the expansion of micro-sized sewing contractors correlates with sales in the clothing wholesale secto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identified specific factors influencing the growth of the sewing contractor industry.

한국어

현재 패션기업들은 높은 고정 비용과 다양한 비용 문제로 인해 생산과 관련된 부분은 아웃소싱으로 이루 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봉제산업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대외적으로 개발도상국 들이 제공하는 값싼 노동력과의 경쟁, 대내적으로는 최저임금 상승을 포함한 고정비 및 다양한 비용 부담이 겹쳐 국내 봉제업체들은 규모 축소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은 국내 봉제산업에 대한 구조적 대응 과 전략적 육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봉제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공진화 이론에 근거하여 환경적 변수와 봉제업 체의 파트너 기업을 연구 변수로 선정하였다. 봉제산업의 규모를 구분하기 위하여 전체 봉제산업과 마이크로 사이즈 봉제산업으로 나누었으며, 환경적 변수로는 최저임금을, 봉제업체와의 파트너 기업 변수로는 패션상 장기업과 의류도매업체를 선정하여, 각 변수들 간의 상호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양적 분석을 위해, 패션상 장기업의 경우는 영업이익을, 의류도매업체의 경우는 매출을 활용하였고, 봉제업체의 경우는 전체 기업 수와 근로자 수를 활용하였다. 이상의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들은 통계청 및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공된 시계열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그랜저 인과관계분석을 통해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 결과 환경적 변수인 최저임금은 전체 봉제산업과 마이크로 사이즈 봉제산업 기업 수와 고용자 수에 1, 2시차에서 영향을 주었으나, 1시차에 더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시차에는 영향이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최저임금은 봉제기업의 봉제업체 수와 고용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임이 확 인되었다. 1시차는 최저임금이 상승할수록 봉제산업에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데까지 1년의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파트너 기업 변수인 패션상장기업의 영업이익은 2시차에서 전체 봉제산업의 고용자 수에 영 향을 미쳤지만, 3시차에서는 마이크로 사이즈 봉제업체 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마이크로 사이즈 봉제업체 수와 고용자수 증가는 2시차에서 의류도매업체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 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실질적으로 패션산업 내에서 봉제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거래 기업들과의 상호영향력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즉 공진화 이론과 같이 봉제산업은 거래하는 파트너 기업들과의 서로 영 향을 주고받고, 환경적 변수에 영향을 받지만 적응하면서 진화해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봉제산업의 육성 방향과 국가적 전략을 논의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공진화 이론
2. 봉제산업의 역할 및 현황
3. 환경적 변수
4. 봉제산업과의 파트너 기업
Ⅲ. 연구 방법
1. 연구문제와 연구모형
2. 자료수집과 분석방법
Ⅳ. 결과
1. 봉제산업과 최저임금과의 관계
2. 봉제산업과 패션상장기업과의 관계
3. 봉제산업과 의류도매산업과의 관계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권기용 Kwon, Ki Yong.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박사
  • 추호정 Ho Jung Choo.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