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헌기록에 보이는 백제와 신라 교전 지역의 이해

원문정보

Understanding Baekje and Silla Battle Areas in Literature Records

김병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widely believed that the beginning of the full-scale border between Baekje and Silla began in 553. The border between Baekje and Silla chang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illa’s Shinju in July 553 and the Battle of Gwansan Fortress in July 554. It bordered on the border from Asan Bay to Gukwon Fortress(Chungju), Samnyeonsangun(Boeun) and Gammunju(Gaeryeong). In the late 6th century, after Silla’s unilateral dominance, the two countries were in a very insufficient situation. However, despite the poor conflict, Baekje showed an aggressive appearance. These include the BaekjeJapanese-Daegaya alliance’s attack on Silla(562) and Baekje’s invasion of Ilseon(Gumi Seonsan, 577). The main battle areas in the early 7th century were Amak Fortress, Gajam Fortress, Neoknohyeon, Sokham Fortress, Seogok Fortress, and Doksan Fortress. This means that Baekje attacked Silla’s Sangju-Haju region and the Shinju region. Although Baekje waged a large-scale all-out war in the first half of King Mu’s reign, it did not achieve results. However, from the latter half of King Mu’s reign, he overwhelmed Silla from Unbong in Jeollabuk-do to Hamyang in Gyeongnam to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The middle of the last 7th century shows a fierce pattern. The situation first unfolded in the form of Baekje occupying Silla’s 40 fortresses and Daeya Fortress(642). The 40 fortresses are estimated to be in the Gyeongsang-do area from Sokham(Hamyang) to Apryangju(Gyeongsan). Accordingly, the subsequent battles of Maeripo(Changnyeong), Musan Fortress(Muju), Gamul (Gimcheon), Dongjam(Gumi), Yogeo(Sangju), Daeya Fortress(Hapcheon), Jinrye(Gimhae), Seokto Fortress(Jincheon), and Dosal Fortress(Goesan) refers to an offensive and defensive battle between the Sobaek Mountains and the Nakdong River.

한국어

백제와 신라의 전면적인 접경의 시발은 553년을 기점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553년 7월의 신라 신주 설치와 554년 7월의 관산성 전투를 통해 백제와 신라의 국경은 변화를 맞이하였다. 아산만에서 국원성(충주), 삼년산군(보은), 감문주(개령)으로 이어지는 경계를 이룬다. 신라의 일방적 우세 이후인 6세기 후반에 양국의 교전은 매우 미흡한 상황이었다. 그렇지만 빈약한 충돌에도 불구하고 백제의 공격적인 모습을 보인다. 백제-왜- 대가야 연합의 신라 공격(562), 백제의 일선군(구미 선산) 침공(577)이 그것이다. 7세기 초반의 주요 접전 지역은 아막성, 가잠성, 늑노현, 속함성, 서곡성, 독산성 등이었다. 이것은 백제가 신라의 상·하주 방면과 신주 지역을 공략한 것을 뜻한다. 백제는 무왕 전반기에 대규모 전면전을 감행하였음에도 성과는 거두지는 못했다. 하지만 무왕 후반기부터 전북 운봉에서 경남 함양을 거쳐 경남 서부 지역까지 신라를 압도하였다. 마지막 7세기 중엽은 치열한 양상을 보인다. 처음 백제가 신라의 40성과 대야성(642)을 차지하는 형태로 상황이 전개되었다. 40성은 속함(함양)에서 압량주(경산)에 이르는 경상도 일대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후에 벌어진 매리포(창녕), 무산성(무주), 감물(김천), 동잠(구미), 요거(상주), 대야성(합천), 진례(김해), 석토성(진천), 도살성(괴산) 등의 전투는 소백산맥에서 낙동강 이서에서 일진일퇴의 공방전을 의미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6세기 후반의 접촉과 대응
Ⅲ. 7세기 초의 각축 지역
Ⅳ. 7세기 중엽의 교전 지역
Ⅴ.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병남 Kim, Byung-Nam. 전북대학교 사학과 부교수/전라문화연구소장/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연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