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 사회불안장애에 대한 비대면 이미지 재구성법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 검증 : 예비 연구

원문정보

Online Imagery Rescripting for Adolescent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 A Pilot Study

이수민, 안정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minister online imagery rescripting (IR) to adolescent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SAD) and to test the efficacy of the treatment as a pilot study. Twelve adolescents diagnosed with SAD were randomized to an IR group and a wait-list control (WC)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three sessions of IR. Images associated with negative self-imagery, adverse past memories, social anxiety symptoms, dysfunctional beliefs, and core beliefs were measured at pre-, post-, and 4-week follow-ups. We conducted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 samples t-tests for each group.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wo groups for image vividness and distress, but only the I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image distress from pre- to post-test and from pre- to follow-up test using paired samples t-tests. Second, memory vivid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wo groups, but memory distress had a statistical trend between two groups, and a paired-sample t-test showed that only the IR group significantly reduced memory distress from pre- to post-test and from pre- to follow-up test. Third, for social interaction and performance anxiety, no significant interaction was found between two groups, but a paired samples t-test showed a statistical trend in the reduction of performance anxiety from pre- to post for the treatment group only.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for dysfunctional beliefs and core beliefs. However, only in the IR group, a paired-sample t-test showed a statistical trend toward reducing dysfunctional beliefs from the pre- to post-test and from the pre- to follow-up test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core beliefs at both time poi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s the clinical utility of administering an IR protocol to adolescents online.

한국어

본 연구는 사회불안장애가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미지 재구성법을 비대면으로 시행하고 예비연구로서 의 치료 효과를 검증하였다. 사회불안장애로 진단된 12명의 청소년을 치료 집단과 대기 통제 집단에 무선 할당하고 치료 집단에 3회기의 이미지 재구성법을 실시하였다. 부정적 자기상과 관련된 이미지, 기억, 사회 불안 증상, 역기능적 신념, 핵심신념에 대한 변인들을 사전, 사후, 4주 후에 측정하였으며, 반복측정 변량분 석과 각 집단 별로 대응 표본 t 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이미지 생생함과 고통감은 두 집단 사 이에 유의한 상호작용은 없었으나, 치료 집단만 사전-사후, 사전-추후에서 이미지 고통감이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 둘째, 기억 생생함은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없었으나 기억 고통감은 상호작용의 통계 적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치료 집단만 사전-사후, 사전-추후에 기억 고통감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사회불안 및 수행불안은 두 집단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치료 집단만 사전-추후에 수행 불안의 감소에서 통계적 경향성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역기능적 신념과 핵심신념은 두 집단의 유 의한 상호작용은 없었으나, 치료 집단만 사전-사후, 사전-추후에서 역기능적 신념 감소의 통계적 경향성이 나타났고, 핵심신념은 두 시점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 이미지 재구성법이 청소년에 게 임상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방법
연구 대상
측정 도구
연구 절차
분석 방법
결과
집단간 사전동질성 검증
이미지, 기억 생생함 및 고통감의 변화
사회불안 증상 및 역기능적 신념, 핵심신념의 변화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수민 Sumin Lee.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졸업
  • 안정광 Jung-Kwang Ahn.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