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이식 쿠르간 금제 장식의 제작기법과 기술문화사 상 의의

원문정보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Golden Ornaments from Issyk Kurgan

김동균, 김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om the 8th to 3rd century BC, a Nomadic ethnic group known as the Saka inhabited in Kazakhstan. Among their remains, the so-called ‘Golden Man’, adorned with over 4,000 golden ornaments, was excavated from Issyk Kurgan, attracting significant interest. This article focused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golden ornaments of ‘Golden Man’. By examining the production techniques, this article a ims t o s hed l ight o n t he s ignificance o f t he golden ornaments of the ‘Golden Man’ within the metal craft culture of Central Asia. Chapter 2 examines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golden ornaments based on excavation reports of Issyk Kurgan and previous research conducted thus far. Chapter 3 delves into the technical aspects of the golden ornaments through their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Moreover, Chapter 4 extracts the significance inherent in these golden ornaments. Most of the golden ornaments were crafted using the stamping technique. These ornaments adorned significant parts such as the headdress, upper garment, belt, scabbard.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summarizing the technical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the stamping technique in two aspects: ‘production’ and ‘adornment’, highlighting its economic efficiency and practicality.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of the golden ornaments from Issyk Kurgan within the metal craft culture in Central Asia lies in the mastery and adept use of the stamping technique.

한국어

고대 카자흐스탄 일대에는 서기전 8∼3세기를 중심으로 사카(Saka)계로 통칭하는 유목민족 집단이 거주하고 있었다. 사카 문화에 속하는 이식 쿠르간에서는 4천여 점의 금제 장식으로 치장된 이른바 황금인간이 출토되어 일찍이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이 글에서는 황금인간 금제 장식의 제작기법적 측면을 주목하여 황금인간의 금제 장식이 중앙아시아 금속공예 기술문화사 상에서 가지는 의의를 밝혀내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이식 쿠르간의 발굴조사보고서와 그간의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금제 장식의 제작기법을 고찰하였다. 또한 실제 복원 및 재현 제작을 통해 금제 장식이 가지는 기술적 특징을 간취하고 이를 토대로 금제 장식이 가지는 의의를 도출하였다.황금인간을 구성하는 금제 장식에는 압출 기법으로 제작된 장식이 특히 많다. 이들은 피장자 복식의 모자, 상의, 허리띠, 단검 칼집 등 주요한 부분을 치장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특히 제작기법적인 측면을 주목하여 그간의 발굴조사와 연구성과로 확인된 비교 사례를 함께 검토함으로써 압출 기법의 기술적 특징이자 의의를 장식의 제작, 복식의 치장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가지는 경제성, 실용성으로 정리하였다. 아울러 이식 쿠르간의 금제 장식은 이러한 압출 기법이 가장 완숙하게 구사되었다는 점에서 중앙아시아 일대 금속공예 기술문화사 상에서 가지는 의의가 크다고 정리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1. 이식 쿠르간과 황금인간
2. 황금인간의 장신구
Ⅱ. 장식별 제작기법 고찰
1. 입체장식
2. 반입체장식
3. 평면장식
Ⅲ. 장식의 복원 및 재현
1. 장식의 모형틀(원형) 제작
2. 장식별 제작 공정
3 . 도금과정
4. 장식의 복원 및 재현 결과
Ⅳ. 이식 쿠르간 금제 장식의 기술문화사 상 의의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균 Kim, Dong-gyun. 세종문화재연구원 연구원
  • 김도영 Kim, Do-young.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