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휴산업시설을 재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 디자인 특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xperienc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Recycled from Idle Industrial Facilities

최병성, 김성군, 장청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many industrial facilities are idle or abandoned due to the adjustment of industrial structure, resulting in resource waste and environmental damage. At the same time, with the advent of the experience economy, consumers consumption concepts and lifestyles have changed. Their demand for space is no longer just to meet basic functions, but also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quality and experience of space, under the theme of culture and art, many complex cultural spaces with functions such as exhibitions, sales, performances, and experiences have begun to be created, and the trend is increasing. Therefore, the common theme of current urban innovation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is how to utilize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ransform them into creative and distinctive spaces, while meeting the diverse needs of consumers and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In this study,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an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design. Based on this, six key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desig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were derived. Through these six key characteristics, we investigated and evaluated the experience design of a classic case of a complex cultural space regenerated in a domestic idle industrial facil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prior research, literature, and case studies, it was concluded that the six main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design for complex cultural spaces utilizing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re historical preservation, functional complexity, openness, association, sensory, and interactivity. Six cases of convert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were analyzed, and the spatial experience design of each case was evaluated in terms of six majo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was found that each case ha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ith F1963 having the highest overall score and Seongsu-dong Seongsuryeonbo having the lowest. This article also mad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experience design of complex cultural spaces, mainly by adding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and interactive design means. Based on this study, future research will specifically suggest the utilization of various differentiated experience design elements of complex cultural spaces.

한국어

도시화 과정에서 많은 산업시설이 산업구조의 격변 을 거치며 방치되거나 폐기되어 자원 낭비와 환경 파괴 를 초래했다. 이와 동시에 경험경제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소비자의 소비관념과 생활방식도 크게 변화하였 다. 그들의 공간에 대한 수요는 더이상 기본적인 기능 에 만족하지 않고 공간의 품질과 경험을 더욱 중시하게 되었고, 문화예술을 주제로 전시, 판매, 공연, 경험 등 의 기능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이 많이 생겨나기 시작하 였으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따라서 현재 도시 혁 신과 산업전환의 공통된 주제는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하 여 창의성과 특색을 가진 공간으로 개조하고, 소비자의 다원화된 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도시의 지속 가능 한 발전을 추진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산 업시설의 재생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 디자인 특성을 연구하고, 복합문화공간의 공간경험 향상을 위 한 유용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 시설의 재생가치와 특징, 복합문화공간과 경험 디자인 의 개념 및 특성을 수집·분석하기 위해 문헌 조사, 사 례분석, 전문가 인터뷰 등의 방법을 활용하고, 이를 바 탕으로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경 험 디자인의 6가지 핵심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핵 심 특성을 통해 국내의 유휴산업시설에서 재생되는 복 합문화공간의 고전적 사례에 대한 경험 디자인을 조사 하고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와 문헌 및 사례 조사를 통해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을 활용한 복합문화공 간 경험 디자인의 6가지 주요 특성은 역사 보존성, 기능복합성, 개방성, 연상성, 감각성, 상호작용성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유휴산업시설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전환 한 6가지 사례를 분석하고, 각 사례의 경험 디자인을 6가지 특성으로 평가하였다. 조사결과, F1963의 종합 점수가 가장 높았고, 성수동 성수연방의 종합점수가 가 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사례별로 장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 디자인 개 선을 위한 제언으로는 주로 역사문화요소와 상호작용 디자인 수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의 차별화된 다양한 경험 디자인 요소의 활용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 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유휴산업시설 재생의 이해
2.1.1. 유휴산업시설의 개념
2.1.2. 유휴산업시설의 재생가치
2.1.3. 유휴산업시설의 재생공간 특성
2.2. 복합문화공간의 개념과 특성
2.2.1. 복합문화공간의 개념
2.2.2. 복합문화공간의 특성
2.3. 경험 디자인의 개념과 특성
2.3.1. 경험 디자인의 개념
2.3.2. 경험 디자인의 특성
2.4. 복합문화공간의 경험 디자인 특성
3. 사례연구
3.1. 조사 대상의 개요 및 분석 방법
3.2. 사례조사 대상
3.2.1. 사례1: 부산 F1963
3.2.2. 사례2: 서울 성수연방
3.2.3. 사례3: 서울 피크닉
3.2.4. 사례4: 광양 예술창고
3.2.5. 사례5: 수원 111CM
3.3. 종합분석 결과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병성 Cui, Bing Sheng. 국립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김성군 Jin, Sheng Jun. 국립부경대학교 정보융합대학 조형학부 시각디자인전공 강사
  • 장청건 Jang, Chung Gun. 국립부경대학교 정보융합대학 조형학부 시각디자인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