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Analysis of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Maedeupjang and Kno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Royal Uigwe(儀軌)
초록
영어
Knot is a native word that means 'tying', and a maedeupjang refers to a craftsman who does the work of tying.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ir status by analyzing the entire Royal Uigwe who have been active for more than 20 years. In addition, the pattern of forming a craftsman's family and the change in the knot was confirmed through the drawing drawn on the Uigwe. What we learned through this is as follows. In the 17th century, knot craftsmen living in Seoul were mobilized to produce ritual objects of Jongmyo Shrine that were lost to war. At that time, knot craftsmen who were active for a long time were Yun Eon-jong, Kim Jeong-shin, Kim Seok-kyoon, Kim Gyeong-rip, Kim Jik, Song Gun, and Kim Gye-up.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belonging to the government office or the military were mobilized. Knot craftsmen in the 18th century were Park Si-seon, Park Gwi-seon, Kim Gye-heung, Baek Chan-ki, Godeok-hwa, Godeok-bong, Jangheungbok, Kim Gwiryeong, Jeong Yong-jae, and Jeon Pil-sang. Park Si-seon and Park Gwi-seon, Godeok-hwa, and Godeok-bong worked together as brothers. A typical knot is made during the Jinchan of Bongsu, which commemorates the 60th birthday of Hyegyeonggung, the mother of King Jeongjo in 1795. When the commodity economy was revitalized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knot craftsmen in the 19th century did not belong to the government office but produced privately.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knot craftsmen were Jeong Gwan-taek, Jeong Yi-taek, Baek Cheon-son, Jo Bong-rin, Jeong Seong-woo, Jeong Chun-woo, and Jeong In-cheol. Among them, Jeong Gwan-taek, Jeong Yi-taek, and Jeong Seong-woo formed the craftsman's family. They made a knot of articles to be used for Jinchan in 1829 or 1848. In the late 19th century, King Gojong celebrated a royal feast for Queen Shinjeong in 1877 or 1887, when he made a knot to tie objects. At that time, knot craftsmen who were active for a long time were Kim Chun-gil, Ko Young-sik, Seo Hong-seok, and Choi Han-ryong. The knot craftsmen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ere Lee Sun-i, Lee Yong-seok, Lee Su-bong, and Kwak Min-ki, and they made knots of various objects.
한국어
매듭은 ‘맺는다’는 의미를 지닌 고유어이고, 매듭장은 그 일을 하는 장인 을 가리킨다. 본고는 『왕실의궤』 전체를 대상으로 20년 이상 장기간 활동한 매듭장 전체를 분석하여 시기별로 그들의 신분 변동이나 직역의 변화를 파 악하고 장인 집안을 형성하여 활동하는 양상 및 기물의 도식을 통해 왕실 매듭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 17세기에는 양란을 거친 후 소실된 종묘의 악기를 장식하기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매듭장들을 동원하였다. 당시 오랫동안 활동한 매듭장은 윤언종, 김정신, 김석견, 김경립, 김직, 송건, 김계업이었다. 17세기 말부터 상의원이나 군문에 소속된 장인들이 동원되었다. 18세기 매듭장은 박시선, 박귀선, 김계흥, 백찬기, 고덕화, 고덕봉, 장흥복, 김귀령, 정용재, 전필상 등이었다. 박시선과 박귀선, 고덕화와 고덕봉은 형제로서 함 께 활동하였다. 1795년 혜경궁의 환갑을 기념한 봉수당 진찬 때 제작한 매듭 이 대표적이다. 18세기 말에 상품 경제와 시장 유통이 활성화되자 19세기 매듭장들은 사 적인 생산을 했지만 상의원 소속이었다. 19세기 전반 매듭장은 정관택, 정이 택, 백천손, 조봉린, 정성우, 정춘우, 정인철이다. 이중 정관택을 비롯하여 정 이택, 정성우 등 정씨 형제들은 장인 집안을 형성하였다. 그들은 1829년이나 1848년 진찬에 사용할 악기나 의장의 매듭을 제작하였다. 19세기 후반 고종은 종법상 모후인 신정왕후를 위해 1877년이나 1887년 진찬 등을 베풀었으며 이때 기물을 장식하고자 매듭을 제작하였다. 당시 오 랫동안 활동한 매듭장은 김춘길, 고영식, 서홍석, 최한룡이었다. 대한제국기 의 매듭장은 이선이, 이용석, 이수봉, 곽민기가 각종 연향용 기물의 매듭을 제작하기 위해 활동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17세기의 매듭장과 종묘 의물의 매듭
Ⅲ. 18세기 매듭장과 봉수당 진찬시 매듭
Ⅳ. 19세기 전반 매듭장과 진찬 시 의물의 매듭
Ⅴ. 19세기 후반 매듭장과 진찬시 의물의 매듭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