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경』⋅<문왕>의 수용양상에 대하여 — 조선시대 문집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garding the acceptance pattern of 『The Book of Odes(詩經)』’s <Mun-wang(文王)> – Focusing on literary works from the Joseon Dynasty

이상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examine how our writers used 『The Book of Odes(詩經)』’s in their poetry, I first investigated the patterns in which passages from were cited. As a result, “The work of heaven has no sound or smell.[上天之載, 無聲無臭]” was cited the most, followed by “The virtuous King Mun, alas, stayed bright and respectful.[穆穆文王, 於緝熙 敬止]”⋅“Crowded Lots of scholars[濟濟多士]”⋅“Although the Ju Dynasty is an old country, its divine order is new.[周雖舊邦, 其命維新]” were frequently used. Accordingly, we investigated the usage patterns in order of frequency of citation and analyzed them by dividing them into prose and verse. As a result, in the case of prose, the state of Truth[道] and Truth is expressed with “no sound, no smell” or praise of the king and expression of ‘Respect[敬]’ are expressed through phrases such as “Stay bright and respectful”, “Crowded lots of scholars”, or “Its divine order is new”. Also, The cultivation of virtue was emphasized through the phrase “Don't you think of your ancestors?[無念爾祖]”. In addition, we could also see cases where outstanding talents were compared through the phrase “Crowded lots of scholars”. In addition to this, there were also cases where the renewal of the country was metaphorized through the phrase “Its divine order is new”, or the prosperity of the royal family was metaphorized through the phrase “Descendants prosper for more than 100 years.[本支百世]”. In the case of verse, we could see content praising the king using phrases from “no sound, no smell” etc. And I was able to identify passages from used to reflect on the teachings of Confucian scriptures. In addition, we were able to find cases where he expressed his daily feelings using passages from .

한국어

『시경』⋅<문왕>을 우리 문인들이 자신들의 시문에서 어떻게 활용했 는지 살펴보기 위해 먼저 <문왕>의 구절들이 인용된 양상을 조사했다. 그 결과 “상천지재 무성무취(上天之載, 無聲無臭)”가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었고, 이어서 “목목문왕 오집희경지(穆穆文王, 於緝熙敬止)”⋅“제제다 사(濟濟多士)”⋅“주수구방 기명유신(周雖舊邦, 其命維新)”등이 많이 활용 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인용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활용양상을 조사 해서 산문과 운문의 경우로 나누어 그 양상을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산문의 경우에는 “무성무취”로 도(道)와 도의 경지를 표현하거나 “집희경지”나 “제제다사” 혹은 “기명유신” 등의 구절을 통해 임금에 대한 찬양과 ‘경(敬)’을 강조하는 경우를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무념이조 (無念爾祖)”등의 구절을 통해서 덕의 수양을 강조하거나 “제제다사”구절을 통해 뛰어난 인재를 비유하는 경우도 볼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주수구방, 기명유신”구절을 통해 나라가 새로워지는 것을 비유하거나 “본지백세(本支 百世)”구절을 통해 왕실의 융성을 비유하는 경우도 볼 수 있었다. 운문의 경우에는 “무성무취”⋅“제제다사”⋅“기명유신”의 구절을 이용 해서 임금을 찬양하거나 “영언배명, 자구다복”⋅“집희경지”⋅“기명유신” 의 구절을 이용해서 경전의 가르침을 사색하는 내용을 볼 수 있었다. 그 외에 <문왕>의 구절을 이용해서 자신의 일상적인 감회를 표현하는 경우 도 발견할 수 있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산문에서의 활용양상
1. 도와 도의 경지를 표현
2. 임금에 대한 찬양과 ‘경(敬)’의 강조
3. 덕의 수양과 뛰어난 인재의 비유
Ⅲ. 운문에서의 활용양상
1. 임금에 대한 찬양과 권면
2. 경전의 가르침에 대한 사색
3. 일상적 감회의 표현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상봉 Lee, Sang-Bong.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