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왕을 위한 기도 : 시편 72편의 해석과 수용에 관한 소고

원문정보

A Prayer for the King : Reflections on Interpretation and Reception of Psalm 72

하경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interpretation and reception of Psalm 72 as a royal psalm, understood as a ‘prayer for the king’. The royal rule that emerges as a result of the prayer is described in an A-B-C-A'-B' structure. Centering on the king’s rule that reaches to the ends of the earth (vv. 8-11), the king’s rule that manifests as the realization of ‘justice’ (vv. 2-4; 12-14) and the king’s rule that affects people and creation (vv. 5-7; 15- 17) are repeatedly described. This makes it clear that the king’s righteous rule is a ‘universal’ rule that encompasses ‘people’ and ‘creation’ and reaches ‘to the ends of the earth’. The themes of royal theology that emerge from Psalm 72 ar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the king is the fulfillment of the Abrahamic promises. Like Abraham, he is not just a ‘mediator’ of blessing, but a ‘model’ or ‘sustainer’ of blessing. He fulfills Abraham’s blessing by ruling not only for Israel but also for the nations. Second, the king is God’s agent, doing what God does. He is a “redeemer who works salvation and has mercy” on behalf of Yahweh. Through these actions, the king practices “imitatio Dei”. Third, the king prays and praises as an agent of prayer and praise. The king is the recipient of prayer in Psalm 72, but he is also the subject of prayer. Through the ‘colophon’, Psalm 72 becomes a ‘Davidic’ prayer. It is a ‘royal’ prayer for the king. This figure of the king is understood and received in two ways. On the one hand, it is understood as ‘democratic’ and applies to the covenant people as a whole, and on the other hand, it is understood as ‘messianic’ and is fulfilled through Jesus Christ. As an extension of this interpretation, the meaning of Psalm 72 can also be applied to the church and Christians.

한국어

본 논문은 제왕시로서 ‘왕을 위한 기도’로 이해되는 시편 72편에 대한 해 석과 수용에 관한 연구다. 기도의 결과로 나타나는 왕의 통치는 A-B-CA'- B'의 구조로 기술된다. 땅끝까지 미치는 왕의 통치(8-11절)를 중심으로 ‘정의’의 실현으로 나타나는 왕의 통치(2-4절; 12-14절)와 사람과 창조세계 에 미치는 왕의 통치(5-7절; 15-17절)이 반복적으로 기술된다. 이를 통해 왕 의 의로운 통치는 ‘사람’과 ‘창조세계’를 아우르며 ‘땅끝까지’ 미치는 ‘범세계 적인’ 통치임이 분명해진다. 시편 72편을 통해 드러나는 ‘왕정신학’의 주제 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왕은 아브라함의 약속을 성취하는 자이다. 그 는 아브라함처럼 축복의 ‘중재자’만이 아니라 축복의 ‘모범자’나 축복의 ‘유지 자’가 된다. 그는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열방을 위한 통치를 이루며 아브라함 의 복을 성취한다. 둘째, 왕은 하나님의 대행자로서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대신한다. 그는 야훼 하나님을 대신하여 “구원을 행하며 자비를 베푸는 구속 자”이다. 왕은 이러한 행동을 통해 ‘하나님 닮아가기’(imitatio Dei)를 실천한 다. 셋째, 왕은 기도와 찬양의 주체자로서 기도하고 찬양한다. 왕은 시편 72 편에서 기도의 수혜자이지만 동시에 기도의 주체자이기도 하다. ‘후기’를 통 해 시편 72편은 ‘다윗의’ 기도가 된다. 왕을 위한 ‘왕의’ 기도인 것이다. 이러 한 왕의 모습은 두 가지 방향으로 이해되고 수용된다. 한편으로는 ‘민주적’으 로 이해되어 언약의 백성 전체에게 적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메시아적’으 로 이해되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성취된다. 이러한 해석의 연장선에서 시편 72편의 의미는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목차

논문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본문 주석
III. 시편 72편의 해석과 수용
IV. 나가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경택 Kyung Taek Ha.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구약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