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을 “종교 갈등”으로 환원시키는 견해에 대한 비판적 소고(小考)

원문정보

A Critical Reflection on Those Views that Reduce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to a “Religious Conflict”

김회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essay examines the multi-layered causes of the surprise attack of Hamas on Israel that broke out last October, but critically examines some views that tend to reduce the Israeli-Palestinian (and especially Israeli-Hamas) conflict to a religious one. The central thesis of the article is that the October 7 attack of Hamas on Israel is a struggle for the Palestinians’ survival, not a simple religious conflict. It is argued that for each party, religion is not the intrinsic mechanism that triggers the conflict and has been exploited as an ideology to maximize feelings of hostility towards the other. Three arguments have been made to support this thesis. First, the Israeli-Hamas conflict was trigger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of Israel in 1948. The essence of this struggle was a territorial struggle over historic Palestinian territory. At its core, it was a war designed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erritorial occupation. Second, the direct and immediate cause of the Israeli-Hamas conflict, which has been worsening since the late 2000s, is the issue of Israeli settlements in the West Bank. Israeli settlements built inside the Palestinian territories have been criticized by the United Nation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violation of the Oslo Accords, which were signed to ensure peace between Israel and Palestine. Third, Hamas's surprise attack on Israel on October 7 last year was part of Hamas's strategy to blame Israel for the deteriorating living conditions of Gazans, and part of its emergency response to thwart the U.S.-sponsored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Israel and moderate Arab states, known as the “Abraham Accords.” The attempt to reach a peace deal with moderate Arab states, brokered by President Trump and spearheaded by Netanyahu, has driven Hamas to despair.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the essential precursor to the resolution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is Israel's pursuit of a peace that restores the essence of the Abrahamic religion and brings peace to the Palestinians.

한국어

이 논문은 작년 10월에 발생한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공격의 다층적 원인들을 연구하되 이스라엘-팔레스타인(특히 이스라엘-하마스) 갈등을 종교적 갈등으로 환원시키는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논문의 중심 논지는 작년 10월 7일에 발발한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은 단순한 종교갈 등이 아니라 팔레스타인의 생존 투쟁이라는 것이다. 각 당사자에게 종교가 갈등을 심화시키거나 촉발시키는 본질적인 기제는 아니며, 각각에게 종교 는 타자에 대한 배척감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이데올로기로 악용되었다는 주장이다. 이 논지를 뒷받침하는 논거는 세 가지이다. 첫째, 이스라엘-하 마스 갈등은 1948년 이스라엘 국가건설로 촉발되었다. 이 투쟁의 본질은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벌어진 역사에 대한 영유권 투쟁이었다. 역사적 영유 권 투쟁의 핵심은 영토 점유의 정당성을 다투는 전쟁이었다. 둘째, 2,000 년대 후반부터 악화된 이스라엘-하마스 갈등의 직접적이고 당면한 원인은 요르단 서안지구에 들어선 이스라엘 정착촌 문제이다. 팔레스타인 자치지 구 안에 건설된 이스라엘 정착촌들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평화를 보증 하기 위해 체결된 오슬로협정 위반이다. 셋째, 작년 10월 7일 하마스의 이 스라엘 기습공격은 가자 주민들의 악화된 생존 조건을 이스라엘 탓으로 돌 리려는 하마스의 전략이자 미국이 후원하는 이스라엘과 온건 아랍국가들 과의 외교정상화, 즉 “아브라함 화약”(the Abraham Accords) 체결을 저지 하기 위한 비상대응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개하고 네탄야후가 주동적으 로 추구한 온건 아랍국가들과의 평화협정 체결시도는 하마스를 절망에 빠 뜨렸다는 것이다. 이 논문의 결론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의 필수적 인 선결과제는 이스라엘이 아브라함 종교의 본질을 회복하여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 평화를 선사하는 평화추구라는 것이다

목차

논문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의 근인(根因)으로서의 역사적 영유권 갈등
III.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당면갈등인 정착촌 문제
IV. 2007년 포위한 가자(Gaza) 현실을 외면하는 네탄야후의 “아브라함 화약” 체결
V.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회권 Hae Kwon Kim. 숭실대학교 교수, 구약 신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